검색 상세

쓰루미네 시게노부『増補正誤仮名遣』의 和語 항목에 관하여 -『掌中古言梯』의 ア행 항목과 비교하여

鶴峯戊申『増補正誤仮名遣』の和語項目について ―『掌中古言梯』のア行項目と比較して―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鶴峯戊申(쓰루미네 시게노부)의『増補正誤仮名遣』에서 추가된 항목 중, 선행연구에서 출처가 해명되지 않은 것들의 대부분이『掌中古言梯』라는 자료에서 왔음을 밝혔다. 그간 가나 표기법서와 관련된 연구에서『掌中古言梯』는 『古言梯』를 계승하는 자료의 하나로 소개되는 데 그쳤지만, 兒島(2022)를 통해 실제로 후대 자료에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兒島(2022)의 관점을 적용하여『増補正誤仮名遣』의 ア행 和語 항목 중 아직 출처가 밝혀지지 않은 것과『掌中古言梯』를 비교하였다. 조사 결과, 출처가 불분명했던 항목 대부분이『掌中古言梯』에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나 표기법서는 가나 표기가 헷갈릴 수 있는 표현들을 모아놓는데,『増補正誤仮名遣』와『掌中古言梯』에는 공통적으로 가나 표기에 혼동이 생길 가능성이 없는 표현이 수록되어 있었다.『掌中古言梯』에서 인용한 항목을 보면 항목명, 한자 표기, 주석, 출처 표기에 추가, 삭제, 변경 등 수정이 가해진 것들이 보였다.『正誤仮名遣』와『掌中古言梯』두 자료에 모두 보이는 항목은『掌中古言梯』 쪽을 채용하였다. 또한 한자 표기의 경우,「おほはがり」의「業」처럼 잘못 옮긴 듯한 것도 있었다.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조사를 통해『増補正誤仮名遣』는『正誤仮名遣』를 기반으로 하여『尚古仮字用格』와『掌中古言梯』라는 두 자료를 중심으로 어휘를 보강하여 제작되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특히 가나 표기법이 헷갈릴 수 없는 표현이 수록되어 있는 것은 본 자료가『掌中古言梯』를 이용했다는 결정적인 증거라고 할 수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