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일본어학 연구의 역사적 전개와 발자취 ― 『일본학보』를 중심으로 하여 ―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Footprints of Japanese Linguistic Studies: Focusing on The Journal of Japanese Studies

초록/요약

1973년부터 2024년까지 한국일본학회의 『일본학보』에서 발행된 일본어학 논문 1,073편을 맹아기, 성장기, 성숙기, 전환기로 나누어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1) 1973년부터 1982년까지 맹아기의 일본어학 논문은 연 1편으로 총 14편이 실렸다. (2) 1983년부터 1992년까지 성장기 전반부의 일본어학 논문은 총 91편이고, ‘문법’ ‘일본어사’ ‘일본어교육’ ‘어휘・표현’ ‘음성・음운’ ‘사회언어학・화용론’ ‘문자・표기’ 순으로 논문 수가 증가하였다. 1993년부터 2002년까지 성장기 후반부의 일본어학 논문은 총 288편으로 대학교원의 업적평가제도 도입의 영향으로 비약적으로 논문 수가 증가하였다. (3) 2003년부터 2012년까지 성숙기 전반부의 일본어학 논문은 총 445편으로 일본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을 영향으로 들 수 있다. 이 시기에 ‘통역・번역’ 분야 논문이 발행되었는데 활발한 한일교류가 영향을 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성숙기 후반부의 일본어학 논문은 206편으로 성장기 후반부(1993년 2002년)보다도 감소하였고, 그 원인 중 하나가 대학원에 진학하는 연구자의 감소가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4) 2023년부터 2024년까지 전환기의 일본어학 논문은 2년에 29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는데,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대학 개혁, 학과 통합이나 폐지와 같은 사정과 일본관련 학회의 다양화로 인해 논문 발행처의 확대가 영향을 미쳐 성숙기 후반부에 비해 논문 수가 적다고 할 수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