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관에 따른 소득 불평등과 행복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Inequality and Happiness: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Values
- 주제(키워드) 가치관 , 소득 불평등 , 행복 , social values , income inequality , happiness
- 발행기관 한국행정학회
- 발행년도 2022
- 총서유형 Journal
- DOI http://dx.doi.org/10.18333/KPAR.56.4.191
- KCI ID ART002907588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소득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은 비교적 명확한 반면 소득 불평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은 연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소득 불평등과 행복 간의 관계가 상대적으로 일관적이지 않게 나타나는 원인은 한 사회를 구성하는 주요 가치관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다양한 하위 요소들을 통해 형성되는 주요 가치관들은 작게는 한 사회의 소득 불평등을 포함한 주요현상을 바라보는 틀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가치관에 따라 소득 불평등과 행복 간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탐구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World Value Survey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OECD 22개 국가의 시민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한 사회의 성격을 정의하는 가치관으로는 공동체주의와 자유주의를 도출하였으며, 분석결과 공동체주의와 자유주의가 강한 사회일수록 소득 불평등이 행복에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가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가 성숙해지고 공동체주의와 자유주의의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전반적인 행복 수준을 위해 소득 불평등과 다양한불평등에 대한 정책적 고려가 더욱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