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2022 개정 교육과정 기본어휘를 통한 일본어 교육에 관한 연구 : 일본 소학교 교육 한자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through the Fundamental Vocabulary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 Comparative Analysis with Kyōiku Kanji in Japanese Elementary Schools

초록/요약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일본어과 기본 어휘표에서 추출한 한자와 소학교 학습지도요령 학년별 한자 배당표의 교육 한자를 비교 분석하여 일본어 교육의 실태를 밝히고, 나아가 일본어 어휘를 중심으로 한 학습 방안 제시에 목적을 두어 진행되었다. 먼저 기본 어휘표의 기본어휘에서 의미구별용 한자를 제외한 870자를 추출할 수 있었는데, 이 중 중복되는 한자를 소거하여 최종적으로 491자를 추출할 수 있었다. 이에 더하여 491자 중 소학교 교육 한자에 대응하는 한자는 455자로 92.67%의 일치율을 보였고, 특히 저학년에서 일치하는 한자의 비율이 고학년 한자에 비해 높은 모습을 보였다. 나아가 기본 어휘표에서 추출한 870자 중 출현 빈도에 따라 한자를 제시할 수 있었는데, 9번 출현한 한자는 3자, 8번 출현한 한자는 4자, 7번 출현한 한자는 5자, 6번 출현한 한자는 7자, 5번 출현한 한자는 13자, 4번 출현한 한자는 16자, 3번 출현한 한자는 30자, 2번 출현한 한자는 100자, 1번 출현한 한자는 313자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출현 빈도별 한자가 포함된 어휘를 각각 분류하여 제시하였는데, 여기서 학습용 어휘를 1순위, 표기용 어휘를 2순위로 지정하였고, 단계적인 학습을 위한 어휘표를 제시하였다. 이때 학습용 한자는 대체로 소학교 저학년 한자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형태와 의미의 연결이 직관적인 저학년 한자의 일차적인 학습은 고등학교 일본어 교육에서 또한 효율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외국어 교육에서 기본어휘 목록을 만드는 목적은 방대한 어휘를 학습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일정 범위의 어휘를 우선적으로 학습함으로써 해당 외국어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일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진행한 일본어 기본 어휘표와 소학교 교육 한자와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추출한 한자와 어휘를 제시하고 목록화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more

초록/요약

本研究は、2022年に改正が行われた教育過程における日本語の「基本語彙表から抽出された漢字」と、小学校学習指導要領における「学年別漢字配当表の教育漢字」を比較分析することによって日本語教育の実態を明らかにし、ひるがって語彙を中心とした学習方法の提示を目的として実施したものである。まず、基本語彙表の基本語彙から意味区別用の漢字を除外し、870字を抽出することができた。これらの中から重複する漢字を削除し、最終的に491字を抽出するに至った。そして、491字の内、小学校の教育漢字に対応する漢字は455字であり、92.67%の一致率を記録した。特に低学年での一致割合が高学年と比較して突出した結果となった。さらに、基本語彙表から抽出した870字の出現頻度に基づき漢字を提示した。例えば、9回出現した漢字は3字、8回は4字、7回は5字、6回は7字、5回は13字、4回は16字、3回は30字、2回は100字、1回は313字である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最後に、出現頻度別の漢字を含む語彙を分類して提示した。この際、学習用語彙を1順位、表記用語彙を2順位として分類し、階段的な学習を支援するための語彙を提示した。ここで学習用漢字は、主に小学校低学年の漢字に基づいていることが明らかになり、形態と意味の直覧性が高い漢字の一次的学習が、高等学校での日本語教育においても効率的に活用されることが期待される。結論として、外国語教育における基本語彙のリスト作成の目的は、学習すべき語彙を優先的に習得することによって学習効率を高めることにある。この意味で、本研究で実施した日本語の基本語彙表と小学校の教育漢字との比較分析を通じて抽出された漢字と派生語彙の提示は、一定の意義を有するものであると言える。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current state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by comparing the kanji extracted from the Fundamental Vocabulary Table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or Japanese Language with the Kyōiku Kanji (Education Kanji) assigned by grade level in the Japanes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guidelines. Additionally, it seeks to propose learning strategies focused on Japanese vocabulary. Initially, 870 kanji were extracted from the Fundamental Vocabulary Table, excluding those used solely for distinguishing meanings. After eliminating duplicates, a total of 491 unique kanji was obtained. Among these, 455 kanji corresponded to those in the elementary school Kyōiku Kanji curriculum, reflecting a 92.67% alignment. Notably, the correspondence rate was higher for kanji taught in lower grades compared to those in higher grades. Furthermore, the extracted 870 kanji were analyzed based on their frequency of occurrence. The distribution was as follows: 3 kanji appeared 9 times, 4 kanji appeared 8 times, 5 kanji appeared 7 times, 7 kanji appeared 6 times, 13 kanji appeared 5 times, 16 kanji appeared 4 times, 30 kanji appeared 3 times, 100 kanji appeared 2 times, and 313 kanji appeared only once. Finally, vocabulary containing these kanji was classified according to frequency. Learning vocabulary was designated as the first priority, and writing vocabulary as the second priority, thereby providing a step-by-step vocabulary list for effective learning. The kanji selected for learning were predominantly those taught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se kanji, characterized by intuitive connections between form and meaning, are expected to facilitate effective learning not only in the early stages but also in high school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conclusion, the primary purpose of creating fundamental vocabulary list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to enhance learning efficiency by prioritizing a manageable subset of essential vocabulary. The comparative analysis in this study of the Fundamental Vocabulary Table and the elementary school Kyōiku Kanji holds significance in presenting and organizing kanji and vocabulary into meaningful lists.

more

목차

초록 ⅰ
要旨 ⅲ
Abstract ⅴ
목차 ⅶ
표 목차 ⅸ
그림 목차 ⅺ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4
2.1 문부과학성 소학교 학습지도요령 4
2.1.1 학년별 한자 배당표 4
2.1.2 교육 한자 8
2.2 교육부 2022 개정 교육과정 11
2.2.1 기본 어휘표 12
2.2.2 기본어휘 14
2.3 선행연구 17
2.3.1 일본어 한자 교육에 관한 연구 17
2.3.2 일본어 기본어휘에 관한 연구 19
2.4 본 연구의 입장 21
3. 연구 방법 23
3.1 분석 대상 23
3.2 분석 방법 23
3.2.1 분석 도구 23
3.2.2 분석 기법 24
3.3 분석 절차 및 과정 25
3.3.1 기본 어휘표 한자 추출 25
3.3.2 기본 어휘표 추출 한자에 대응하는 교육 한자 33
3.3.3 기본 어휘표 행별 추출 한자에 대응하는 교육 한자 38
3.3.4 기본 어휘표 출현 빈도별 한자 및 어휘 40
4. 분석 결과 42
4.1 기본 어휘표 추출 한자 42
4.1.1 기본 어휘표 중복추출 한자 42
4.1.2 기본 어휘표 순수 추출 한자 45
4.1.3 기본 어휘표 출현 빈도별 한자 48
4.1.4 분석 결과 정리 49
4.2 기본 어휘표 추출 한자와 교육 한자 50
4.2.1 기본 어휘표 대응 교육 한자 50
4.2.2 학년별 일치율 53
4.2.3 분석 결과 정리 55
4.3 기본 어휘표 행별 어휘 추출 한자와 교육 한자 56
4.3.1 あ~な행 56
4.3.2 は~わ행 64
4.3.3 분석 결과 정리 72
4.4 기본 어휘표 출현 빈도별 한자의 어휘 제시 75
4.4.1 출현 빈도가 높은 한자와 어휘 75
4.4.2 출현 빈도가 보통인 한자와 어휘 80
4.4.3 출현 빈도가 낮은 한자와 어휘 82
4.4.4 분석 결과 정리 84
5. 결론 및 고찰 85

참고문헌 89
부록 9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