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의 여신 원형을 기반으로 일본 애니메이션 극장판의 여성 캐릭터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Female Characters in Japanese Animation Movies based on the Mythology Archetype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 애니메이션 극장판의 여성 캐릭터를 신화 원형을 기반으로 분석하고 그것이 젠더 이데올로기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구현하고 있는 여신 원형과 시대적 흐름, 장르적 특성, 그리고 시각적 표현 요소와의 관계성을 함께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1년 1월 1일부터 2023년 10월 31일까지 국내 개봉한 일본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극장판이면서 관객수가 해당 분류의 평균 이상인 작품 중 감독 당 최다 관객수를 동원한 작품의 여성 캐릭터이다. 이는 관객수를 평균 이상 확보한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은 기획 과정에서부터 대중의 반응을 고려하며 시대적 이데올로기와 사상을 반영했을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연구 방법은 칼 구스타프 융의 원형 이론과 에리히 노이만의 어머니 여신 및 원형적 여성성을 그리스 신화 여신 캐릭터와 접목해 유형화한 빅토리아 린 슈미트의 여신 원형 캐릭터를 주요 관점으로 적용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본 애니메이션의 여성 캐릭터들은 여신 원형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해당하는 특성을 보였다. 시대가 흐름에 따라 한 캐릭터가 표상하는 여신 원형이 많아지고, 독립적이고 모험적 특성을 가진 원형이 자주 등장하는 등 여성 캐릭터의 다양성과 입체성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애니메이션의 장르에 따라 여성 캐릭터가 표상하는 여신 원형에도 차이가 있었다. 판타지 장르에서는 모험적이고 독립적인 여신 원형이 주로 나타난 반면 드라마와 로맨스 장르에서는 보호적이고 헌신적인 여신 원형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여성 캐릭터의 의상을 통해 표현된 시각적 요소들은 캐릭터의 내면적 특성과 원형적 특성을 반영하며 캐릭터의 여신 원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일본 애니메이션 극장판에서 시대적 변화에 따른 여성상의 변화를 캐릭터의 특성과 조형 요소에 반영하여 전달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emale characters in Japanese animation movies based on mythologic archetypes and examine how they relate to gender ideology. In addition to analyzing the mythologic archetype each character embodies, this analysis explores its relationship with genre characteristics, the visual expression of the female characters, and the reflection of time's progress. To conduct a qualitative analysis of female characters, original Japanese animation movies with the highest admissions per director among those released in Korea between January 1, 2011, and October 31, 2023, and with admissions above the average for their category were selected. The rationale for choosing original animations with above-average admission is that these films are expected to have considered public reaction from the planning stages and thus effectively reflect social concepts and ideologies. The theoretical framework is applied with a focused perspective on female archetypes that Victoria Lynn Schmidt embodied in conjunction with Greek mythological goddess characters, which follow the archetype theories of Carl Jung and the Great Mother as a primordial image of the human psyche studied by Erich Neumann. In this analysis, female characters in Japanese animation movies are found to exhibit one or more of Schmidt's female archetypes. Over time, the number of female archetypes embodied in a single character has increased, with the rise of frequency in independent and adventurous archetypes’ appearance, showing an increase in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female characters. Differences in female archetypes represented by each character were observed depending on the animation genre. Adventurous and independent female archetypes were predominant in the fantasy genre, while protective and devoted female archetypes were in the drama and romance genres. Lastly, an analysis of the female characters' costumes confirms that visual expressions through the costumes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archetype embodied in each character by reflecting each character's inner characteristics and archetype elements. This study concludes that Japanese animation movies reflect changes in female identity over time by representing it in the film and integrating these changes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visual elements of the characters.
more목차
초록 i
ABSTRACT iii
목차 v
표 목차 vii
그림 목차 ix
제 1장. 서론 1
제 1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제 2장. 이론적 논의 및 문헌검토 4
제 1절 대중매체와 이데올로기 4
Ⅰ. 대중매체와 이데올로기 4
Ⅱ.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의미 전달 5
제 2절 애니메이션 젠더 담론 7
Ⅰ. 젠더 정체성 7
Ⅱ. 애니메이션의 시각적 표현과 성 역할 12
제 3절 일본의 대중문화와 젠더 표상 15
Ⅰ. 일본 애니메이션의 역사 15
Ⅱ. 일본 대중문화 속 여성 17
Ⅲ. 일본 애니메이션 속 여성 21
제 4절 신화원형과 캐릭터 23
Ⅰ. 신화와 원형 23
Ⅱ. 신화 원형 기반의 여성 캐릭터 유형 분류 25
제 3장.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39
제 1절 연구 문제 39
제 2절 연구 방법 40
제 4장. 연구 결과 43
제 1절 일본 애니메이션 극장판 여성 캐릭터의 여신 원형 43
Ⅰ. 여신 원형 분석 43
Ⅱ. 여신 원형 분석 결과 54
제 2절 장르와 여성 캐릭터 여신 원형 55
Ⅰ. 일본 애니메이션 극장판의 장르와 여성 캐릭터 여신 원형 분석 55
제 3절 여성 캐릭터의 원형과 해당 캐릭터의 시각적 요소 58
Ⅰ. 캐릭터 의상 분석 58
Ⅱ. 캐릭터 의상과 여신 원형의 상관 관계 63
제 5장. 결론 69
제 1절 연구의 결론 및 함의 69
제 2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72
참고문헌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