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을 적용한 초등 가정과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Applying Practical Problem Based Instruction in Home Economics Class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가정과에서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여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불확실성과 빠르게 변화함이 특징인 미래사회에서 예측할 수 없는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문제가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미래사회에 대비하여 새롭게 추구해야할 인간상인 세계시민의 개념이 등장하게 되었다. 2022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에서도 공동체 의식, 다양성, 세계와 소통하는 민주시민을 제시하며 국가 교육과정에서 세계시민을 양성하려는 노력이 보였다. 교육부의 발표에서도 세계시민교육에 대해서 기존의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 및 특정 교과에서 가르치던 방안에서 전 교과에서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세계시민교육을 확대하도록 피력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 가정과에서도 세계시민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ADDIE 모형과 숙의과정을 통해 개발하였다. 분석(Analysis) 단계에서는 국가 교육과정과 세계시민교육 관련 문서를 분석하여 초등 가정과에서 세계시민교육의 필요성을 도출하고, 가정과에서의 세계시민역량을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의한 세계시민역량은 “세계시민으로서 소속감을 가지고 개인과 사회의 웰빙을 위하여 나와 관련 있는 세계의 문제에 대해 사회적으로 책임감 있는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역량”이다. 이어 프로그램의 학습자인 초등학교 5학년의 세계시민의식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세계시민의식 진단평가를 실시하였다. 설계(Design) 단계에서는 실천적 문제 중심의 초등 가정과 프로그램 프레임워크를 세웠다. 이에 따라 기존 가정과 내용요소를 분석하고 프로그램 학습요소를 도출할 준거를 세웠다. 또한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프로그램 목표에 따른 항구적 문제, 실천적 문제와 소재를 설정하였다. 학습요소 도출 준거에 따라 프로그램 학습요소를 도출하였다. 개발(Development) 단계에서는 실천적 문제와 학습요소를 기반으로 차시별 학습목표를 선정하였다. 이에 따라 네 가지 실천적 문제를 기반으로 한 8차시 분량의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실행(Implementation) 단계에서는 2주에 걸쳐 초등학교 5학년 두 학급(37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평가(Evaluation) 단계에서는 학습자의 세계시민역량 사전, 사후, 사후2차 측정 및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프로그램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 개발, 설계 단계 전반에 거쳐 개별 숙의와 집단 숙의를 통해 본 프로그램 개발 과정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결과로는, 우선 세계시민역량의 구성요소인 지식, 기능, 태도, 실천의지 전 구성요소에 걸쳐 의미 있는 변화가 일어났다. 학습자는 기존에 세계시민역량 중 기능 부분이 가장 약했으나, 실천적 추론 과정을 거치며 기능이 많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결과에서 학습자가 전반적으로 프로그램에 대해 ‘흥미’, ‘새로움’, ‘실천의지’, ‘공감’ 등을 표현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업 소재에 대한 흥미는 ‘할랄푸드’, ‘업사이클링’, ‘공정무역’, ‘지진난민’ 순으로 높았다. 이어 사후 2차 측정 결과를 통해서 일정 기간 이후에도 프로그램의 효과가 유효함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실행교사의 수업일지를 분석하여 질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행교사와 학습자가 가정과 수업 시 실천적 추론 과정을 충분히 연습할 시간이 부족했던 학기 초에 본 연구가 실시되었기 때문에, ‘대안 평가하기’ 단계에서 어려움을 겪었고, 이를 보완해야 할 필요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세계시민역량 관련 문서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가정과 교육과정을 고찰하여 가정과에서의 세계시민교육 필요성을 분석하여, 가정과에서의 세계시민교육의 기반이 되는 교육 방향을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 둘째, 급변하는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교육문서, 세계시민교육 관련 문서를 고찰하여 가정과에서 세계시민교육 목표 프레임워크와 학습요소 도출 준거를 세운 것에 의의가 있다. 셋째, 세계시민의 대표적인 특징인 ‘실천’을 중점으로, 실천적 문제 중심의 가정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가정과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교수·학습과정안 및 수업 자료를 개발한 것에 의의가 있다.
more목차
초록 i
ABSTRACT iv
목차 vii
표 목차 ix
그림 목차 xii
1장.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1
1.2 용어 정의 4
2장. 이론적 배경 7
2.1 세계시민교육 7
2.1.1 세계시민교육의 개념 7
2.1.2 국제이해교육과 다문화교육의 개념과의 연관성 13
2.2 국가 교육과정과 세계시민교육의 연관성 16
2.2.1 총론에서 강조하는 세계시민교육 16
2.2.2 가정과교육과정과 관련된 세계시민교육 19
3장. 연구 방법 25
3.1 분석 26
3.2 설계 26
3.3 개발 26
3.4 실행 27
3.5 평가 27
3.6 숙의 27
4장. 연구 결과 29
4.1 분석 결과 29
4.1.1 프로그램 목표 29
4.1.2 세계시민의식 진단평가 35
4.2 프로그램 설계 38
4.2.1 실천적 문제 중심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38
4.2.2 프로그램 학습요소 선정 43
4.3 프로그램 개발 51
4.3.1 실천적 문제 단위의 학습목표와 차시 구성 51
4.3.2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54
4.4 프로그램 평가 63
4.4.1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효과 63
4.4.2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 69
4.4.3 실행교사 수업일지를 통한 질적 평가 71
5장. 결론 74
5.1 연구요약 및 의의 74
5.2 제언 77
참고문헌 79
부록 86
A. 세계시민교육 진단평가 및 개방형 설문문항 86
B. 세계시민역량 측정 설문지 90
C.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설문지 93
D. 수업자료 목록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