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일본어 수동문과 한국어·중국어 수동문에 관한 비교 연구 : 각국의 일본드라마 자막 번역을 중심으로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use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passive sent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and Chinese Japanese learners, an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Japanese passive sentence education. In addition, this paper examined passive sentences in Japanese dramas and subtitle translations in Korean and Chinese,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using passive sentences in Korean and Chines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Japanese passive sentences and predicate verbs.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case of direct Japanese passive sentences, it was the most common type of passive sentence in Korean and Chinese translations, and it can respond to all forms of passive sentences in Korean and Chinese.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predicate verbs, differences in perspective and mindset, some examples were being translated from Korean and Chinese into active sentences. Therefore, some of the predicate verbs in Korean and Chinese should clearly understand the restrictions on the use of passive sentences and distinguish the difference from Japanese. It was also found that in Japanese, speakers frequently use passive statements to explain to their opponents that the reason for doing something or being in a certain state lies with others, not with them. This speech function can be found in Korean, but it was not found in Chinese.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Chinese Japanese learners to understand the speech function of Japanese passive sentences and Japanese language habits. Next, in the case of passive sentences for Japanese owners, most of them responded to passive sentences in Korean and Chinese passive translations. In Korean, the degree of closeness between the possession and the owner determined whether a passive statement was established. On the other hand,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Japanese and Chinese in the owner's passive sentence is that unlike Chinese, which is based on the owner's "ownership," Japanese is given by the "person" who has been worked. As a result, Chinese Japanese learners often use 'ownership' as the subject when expressing Japanese owner passive sentences. Therefore, Chinese Japanese learners should be educated to keep in mind that the subject is a "person" who has been worked when learning Japanese owner passive sentences. Finally, in the case of indirect passive sentences in Japanese, unlike direct passive sentences in Japanese, it was the smallest type of passive sentence corresponding to passive sentences in Korean and Chinese translations. In actual language life, it was observed that the frequency of using indirect passive sentences by Japanese was not high. In this study, only a very small number of Japanese automatic verbs are used as Chinese passive grammatical verbs, but they were not found at all in Korean translation. In addition, it cannot be established unless grammar and complement indicating the cause and reason in Korean and Chinese are added to the Japanese indirect passive.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for Korean and Chinese Japanese learners to understand the expression habits of Japanese speakers' subjective attitudes when learning Japanese indirect passive sentences and focus on self-centeredness when using Japanese passive sentence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lso some limitations in this paper. First of all, in the script of Japanese dramas, the number of examples of indirect and owner passive sentences is small and can be somewhat fragmentary. Next, in the research process, examples were observed in which passive sentences were used in Chinese and Korean, and passive sentences were not used in Japanese. Therefore, in the future, we plan to collect and compare more Japanese indirect passive and owner passive data in the Korean, Japanese, and Japanese band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consider reverse directions, focusing on Japanese active sentences corresponding to Korean and Chinese.

more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한국인·중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입장에서 한국어‧중국어 수동문과 일본어 수동문의 사용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일본어 수동문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일본어로 자연스럽게 회화할 수 있도록 본고는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구어체를 연구대상으로 일본드라마에 나온 수동문과 한국어·중국어의 자막 번역을 살펴보았고 일본어 수동문의 유형과 술어동사의 분류에 따라 한국어와 중국어의 수동문 사용특징에 대해 비교·분석했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일본어 직접수동문의 경우, 한국어와 중국어 번역에서 수동문에 대응하는 가장 많은 수동문 유형이었으며 한국어와 중국어의 모든 형태의 수동문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술어동사의 제한, 시점의 차이와 사고방식의 차이로 인해 일부 예문이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능동문으로 번역되고 있었다. 따라서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술어동사의 일부가 수동문의 사용 제한을 명확하게 파악해야 하고 일본어와의 차이를 잘 구분해야 한다. 또한 일본어에서 화자가 상대에게 자신이 어떤 일을 하거나 어떤 상태에 있는 이유가 자신이 아닌 타인에게 있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수동문을 자주 사용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런 발화 기능을 한국어에서도 찾아볼 수 있지만 중국어에서는 찾아볼 수가 없었다. 따라서 중국인 일본어 학습자가 일본어 수동문의 발화 기능 및 일본인의 언어습관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다음으로 일본어 소유자수동문의 경우, 한국어와 중국어 수동문 번역에서 대부분 수동문에 대응하고 있었다. 한국어에서 소유물과 소유자 간의 밀접 정도에 따라 수동문의 성립 여부가 결정됐다. 한편 소유자수동문에서 일본어와 중국어의 가장 큰 차이는 중국어가 소유자의 ‘소유물’을 주어로 하는 것과 달리 일본어는 일을 당한 ‘사람’이 주어라는 것이다. 이로 인해 중국인 일본어 학습자들이 일본어 소유자수동문을 표현할 때 ‘소유물’을 주어로 자주 하게 된다. 따라서 중국인 일본어 학습자가 일본어 소유자수동문을 학습할 때 주어가 일을 당한 ‘사람’임을 명심하도록 교육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일본어 간접수동문의 경우, 일본어 직접수동문과 달리 한국어와 중국어 번역에서 수동문에 대응하는 가장 적은 수동문 유형이었다. 실제 언어생활에서도 일본인의 간접수동문 사용빈도가 높지 않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 자동사 간접수동문이 극소수의 자동사밖에 중국어 수동문 술어동사로 사용되지 않지만 한국어 번역에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또한 일본어 간접수동문에 대해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원인·이유를 나타내는 문법과 보어를 부가하지 않으면 성립할 수 없다. 한편 한국인·중국인 일본어 학습자가 일본어 간접수동문을 학습할 때 일본어 화자 자신의 주관적인 태도에 대한 표현 습관을 잘 파악하여 일본어 수동문을 사용할 때 자기중심에 초점을 두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본 논문에서도 몇 가지 한계가 있다. 우선 일본드라마의 대본에서 간접수동문과 소유자수동문의 예문 양이 적고 어느 정도 단편적일 수 있다. 다음으로 연구 과정에서 중국어와 한국어에서는 수동문을 사용하고 일본어에서는 수동문을 사용하지 않는 예가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향후에는 더 많은 일본어 소유자수동문과 간접수동문의 한·일, 중·일 대역 데이터를 수집하여 비교 연구할 생각이다. 또한 한국어·중국어에 대응하는 일본어 능동문을 중심으로 역방향의 비교 및 고찰할 필요가 있다.

more

목차

초록 ⅰ
Abstract ⅲ
목차 ⅵ
표 목차 ⅷ

Ⅰ. 서론 1
1.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1.2. 선행연구 4
1.2.1. 일본어 수동문의 분류와 구조 4
1.2.2. 한국어 수동문의 분류와 구조 8
1.2.3. 중국어 수동문의 분류와 구조 11
1.2.4. 일본어 수동문 대조 연구 13
1.2.4.1. 한·일 수동문에 관한 대조 연구 13
1.2.4.2. 중·일 수동문에 관한 대조 연구 16
1.3. 본고의 입장 20
1.4. 연구방법 22
1.4.1. 분석 대상과 분석 자료 22
1.4.2. 분석방법 25

Ⅱ. 본론 29
2.1. 일본드라마 수동문의 한국어·중국어 번역양상 29
2.2. 일본어 직접수동문의 한국어·중국어 번역 31
2.2.1. 일본어 직접수동문의 한국어 번역 31
2.2.1.1. 작용동사 39
2.2.1.2. 언어활동동사 40
2.2.1.3. 감각·사고동사 45
2.2.1.4. 감정·태도동사 47
2.2.1.5. 상태·결과동사 50
2.2.2. 일본어 직접수동문의 중국어 번역 51
2.2.2.1. 작용동사 54
2.2.2.2. 언어활동동사 58
2.2.2.3. 감각·사고동사 62
2.2.2.4. 감정·태도동사 65
2.2.2.5. 상태·결과동사 69
2.2.3.소결 71
2.3. 일본어 소유자수동문의 한국어·중국어 번역 74
2.3.1. 일본어 소유자수동문의 한국어 번역 74
2.3.2. 일본어 소유자수동문의 중국어 번역 76
2.3.3. 소결 79
2.4. 일본어 간접수동문의 한국어·중국어 번역 80
2.4.1. 일본어 간접수동문의 한국어 번역 80
2.4.2. 일본어 간접수동문의 중국어 번역 83
2.4.3. 소결 87
2.5. 일본어 교육의 시사점 88

Ⅲ. 결론 90
<참고문헌> 9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