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 유천리 청자 가마와 공간구조 연구
A Study on the Goryeo celadon kiln and space structure in Buan Yucheon-ri
- 주제(키워드) 고려청자 , 운영체제 , 부안 진서리 , 부안 유천리 , 가마터 , 가마 구조 , 감실 , 불턱 , 초벌칸 , 기와 건물지 , 명문기와 , 공간구조 , 자편퇴적층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김윤정
- 발행년도 2023
- 학위수여년월 2023.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 세부전공 미술사학 전공
- 세부분야 해당없음
- 원문페이지 133 p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orea/000000270661
- UCI I804:11009-000000270661
- DOI 10.23186/korea.000000270661.11009.0001415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논문은 부안 유천리 청자가마에서 보이는 특징을 파악하고 부안 유천리 청자요장과 다른 청자요장의 가마, 건물지, 공방지 등을 비교하여 부안 유천리 청자요장의 운영체제에 대해 고찰하였다. 고려시대 부안지역의 청자요장은 줄포만을 마주하고 있는 고창지역의 청자요장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고창지역에서 부안지역으로 요업이 이동하게 된 이유는 크게 4가지로 보인다. 동일한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한 최적화된 요지환경을 함께 공유하고 있었다. 또한 과도한 별공으로 인한 장인의 유망현상이 발생하는 시대적인 배경을 통해 보았을 때, 고창지역 청자요장의 기술자들 중 일부가 이동하여 부안지역에서 요업을 운영하였을 것을 추정하였다. 부안 진서리 일대에 비교적 이른 시기에 요업이 운영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가마들에서 고창 지역의 청자 가마들과 유사한 길이와 소성실 기울기를 공유하고 있어서 친연성을 보인다. 퇴화해무리굽완과 반구병편, 녹청자들이 진서리 7호에서 출토되어 당시 가장 많은 생산량을 보이고 제작되고 있는 완을 고창 용계리와 같은 운영시기에 생산하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가마 구조의 변화를 통해 청자요업기술을 발전시키고자 하였던 노력들이 부안 유천리 가마들의 구조와 특징에서 확인되었다. 석재형 감실을 설치하여 더욱 좋은 유약을 제조하고자 연소실에서 생산된 재들을 보관하였다. 12세기 3/4분기경에 개요한 가마들에서는 경사형 불턱이 확인되는 것에 반해 12세기 4/4분기-13세기의 개요한 청자가마들에서는 수직형 불턱이 확인되었다. 또한 여러 차례 개축을 통해 불턱의 높이가 상승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2세기 후반경, 경사형과 수직형 불턱이 함께 공존하고 있었으며 생산하는 기물의 품질에 따라 가마의 구조를 달리하였던 것으로 해석하였다. 진서리에서 유천리로 요업의 범위가 넓어지면서 요업이 진행되는 자연환경도 변화하게 되었다. 특히 부안 유천리 청자요장 중 가마의 밀집도가 가장 높아지는 곳은 만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낮은 구릉산지에 분포하고 있다. 산 중턱부에 위치한 진서리에 비해 유천리에서 더욱 낮은 자연경사도를 얻을 수 있었으며 점차 도공이 불길을 안정적으로 통제할 수 있었을 것이다. 만이라는 자연지형은 더욱 높은 풍화, 침식작용을 거친 이차점토를 수급할 수 있었기에 점차 만의 안쪽에 대규모 요장이 조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볼 때, 초벌구이는 경제적이지 못한 공정이다. 하지만 초벌구이와 초벌칸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면서 더욱 양질의 청자를 생산하고자 하였다. 가마의 구조에 대한 이해와 생산품의 풀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해석된다. 부안 유천리 3구역 요장에서 확인된 건물지와 공방지들은 청자를 제작하는 과정부터 선별, 보관하는 단계까지 청자를 제작하기 위한 모든 공정들이 건물지와 공방지의 성격에 반영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요장에서 확인된 건물지들은 모두 건물지라고 명명하였지만 담당하고 있는 기능과 성격에 따라 구별되는 것으로 보인다. 부안 유천리 3구역 일대에서 확인된 기와 건물지는 소수공업 지역에서 보이지 않았던 건물의 형태이다. 또한 축대를 이용하여 공간을 분리하고 구획을 나눈 것으로 보여 높은 위계를 가진 건물이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부안 유천리 3구역 일대에서 보이는 공간구조를 살펴보았을 때, 부안에서 생산하는 고려청자가 점차 화려한 문양을 보이며 여러 시문기법들이 복합적인 양질의 청자를 생산할 수 있게 된 이유가 가마와 건물지, 공방지 간의 유기적인 관계에서 비롯되었던 것으로 보였다. 효율적인 청자생산을 위해 분업화된 청자생산과정이 건물지와 공방지에서 이루어졌다. 그리고 일반적인 폐기물퇴적구가 아닌 자편들만 인위적으로 파쇄한 자편퇴적층이 발견되었다. 이는 곧 왕실에서 사용하기 위한 특수한 목적의 청자들을 다수 제작하였으며 생산품의 품질을 관리하고 낙선품들조차도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본 고에서는 부안 유천리 청자가마에서 보이는 구조적 특징과 유구의 중요성을 주목받지 못하였던 고려시대 청자요장 내 건물지와 공방지의 성격과 기능에 대한 연구이다. 고려시대 청자요장에서 확인된 건물지, 공방지들 중 부안 유천리 3구역 일대에서 확인된 건물지들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가마의 구조와 건물지와 공방지들의 공간구조를 변화시키고 구획하는 과정을 통해서 부안의 청자요업기술을 빠른 시간에 발전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가마와 건물지, 공방지의 변화가 바탕이 되었기에 강진과 함께 최고급의 상감청자를 생산할 수 있었던 요장의 발전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more초록/요약
This thesis identified characteristics of the Goryeo Celadon kiln in Yucheon-ri, Buan, and the operating system of The Goryeo celadon kiln in Yucheon-ri, Buan was studied by comparing the kiln, building site, and workshop site of the celadon kiln in Yucheon-ri, Buan with others. It seems that the celadon kiln site in Buan area during the Goryeo Dynasty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at in Gochang area facing Julpo Bay. There are four main reasons for the movement of ceramic industry from the Gochang to the Buan area. The optimized environment based on the similar natural environment was shared together. In addition, considering the background of the era in which the craftsmen's promising phenomenon occurred due to excessive special tribute, it is assumed that some of the technicians of the celadon in the Gochang area moved and operated the celadon system in the Buan area. Kilns, which seem to have operated ceramics in the Jinseo-ri area of Buan in a relatively early period, shared a similar length and inclination of the firing chamber with those of the celadon kilns in the Gochang area, showing affinity. Modified bowls with doughnut-shapped Footring(退化日暈底碗), bangu bottles fragment(盤口甁片), and nok celadon(綠靑磁) were excavated from Jinseo-ri No. 7, and it was found that bowls, which produced the most at that time, were produced at the same operating period as Yonggye-ri, Gochang. Efforts to develop celadon ceramic technology through changes in the kiln structure were confirmed in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kilns in Yucheon-ri, Buan. A stone-type chamber was installed to store the ashes produced in the combustion chamber in order to manufacture a better glaze. Kilns opened around the third quarter of the 12th century, an inclined fire sill was confirmed, whereas in the celadon kilns opened from the fourth quarter of the 12th century to the 13th century, a vertical fire sill was confirmed. In addition, through several reconstructions, it was found that the height of the fire sill was rising. In the late 12th century, it was interpreted as the inclined and vertical fire sills coexisted, and structures of the kiln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quality of items being produced. As the range of ceramics expanded from Jinseo-ri to Yucheon-ri, the natural environment in which ceramics were conducted also changed. In particular, among celadon kilns in Yucheon-ri, Buan, the place with the highest density of kilns was located in the innermost part of the bay and is distributed in low hilly mountains. Compared to Jinseo-ri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mountain, a lower natural slope could be obtained in Yucheon-ri, and the potter could gradually control the flames stably. The natural topography of the bay was able to supply secondary clay that went through higher weathering and erosion, it could be considered as thought that a large-scale kiln was gradually built inside the bay.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bisquit firing is an uneconomical process. However, it was intended to produce better quality celadon by actively introducing bisquit firing and it’s space. It is considered as an effort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kiln and improve the quality of products. The building and workshop sites identified in the District 3 of Yucheon-ri, Buan confirmed that all processes for making celadon were reflected in the nature of the building and workshop sites, from the process of making celadon to the stage of selection and storage. All of the building sites identified in kilns are named building sites, but they seem to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in charge. Tiled-roofed buildings found in the area of Yucheon-ri District 3, Buan, are in the form of buildings that were not seen in so(所) manual industrial area. In addition, it was presumed that building had a high hierarchy since the space was separated and partitioned by using embankments. When examining the space structure seen in the area of Yucheon-ri District 3, Buan, Goryeo celadon produced in Buan gradually shows splendid patterns. It seems that the reason why various inscribed pattern techniques were able to produce complex high-quality celadon was due to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kilns, buildings, and workshop sites. For efficient celadon production, a specialized celadon production process was carried out in buildings and workshop sites. In addition, a gravel deposit layer artificially crushed into pieces, not a general waste deposit pit, was found. This is interpreted as a measure to manufacture a large number of special celadons for use in the royal family, manage the quality of the products, and prevent leakage of even failed products. This thesis is the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building and workshop sites of the celadon kiln during the Goryeo Dynasty when the importance of the structural features and remains of the celadon kiln in Yucheon-ri, Buan was not noticed. Among the building and workshop sites confirmed at the celadon kiln site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building sites identified in the District 3 of Yucheon-ri, Buan were reviewed. It seems that Buan's celadon ceramics technology developed rapidly through the process of changing and dividing structures of the kiln and the spatial structure of building and workshop sites. Changes in the kilns, buildings and workshop sites are considered to be the foundations that led celadon kiln in Yucheon-ri, Buan to produce the finest inlaid celadon, along with Gangjin.
more목차
Ⅰ. 머리말 1
Ⅱ. 부안 유천리 청자 요장의 자연환경과 요장의 이동 7
1. 부안지역의 자연환경과 입지조건 7
1) 줄포만 일대 이차점토의 확보 8
2) 가마운영에 필요한 연료의 수급 9
3) 줄포만을 통한 원료의 확보와 생산품의 운송 12
4) 서해안의 자연지형과 기후환경 14
2. 부안지역으로 요장의 이동과 성립 16
1) 고창지역 요업의 부안으로 이동 16
2) 부안 유천리 요업의 개시시기와 이동과정 29
Ⅲ. 부안 유천리 청자가마 구조의 특징과 변화 46
1. 토축요 회구부 내 석재 감실의 설치 46
2. 수직형 불턱의 등장과 기능 52
3. 경사도에 따른 안정적인 불길의 통제 57
4. 초벌칸의 조성을 통한 초벌구이의 제작 58
Ⅳ. 부안 유천리 3구역 건물지의 성격과 공간구조 65
1. 부안 유천리 3구역 요장의 건물지와 공방지 현황 65
2. 부안 유천리 3구역 요장의 건물지와 공방지 성격 73
3. 정형화된 경()자형 공간의 구조적 특징 84
1) 축대를 이용한 공간분리 87
2) 요장 내 기와건물지의 조성과 생산품의 선별과정 87
3) 일자형 공방구조와 차별화된 효율성 89
4. 건물지 하단의 자편퇴적층과 폐기물의 처리방식 92
Ⅴ. 부안 유천리 청자요장의 특수성 97
Ⅵ. 맺음말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