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고도난시 환자에서 스마일수술의 단기간 임상 성적

6 Months Refractive Outcome of Small Incision Lenticular Extraction in High Astigmatism

  • 주제(키워드) 스마일 , 시력교정술 , 난시 , 근시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백세현
  • 발행년도 2022
  • 학위수여년월 2022. 2
  • 학위구분 석사
  • 학과 대학원 의학과
  • 세부전공 안과학 전공
  • 원문페이지 29 p
  • UCI I804:11009-000000258073
  • DOI 10.23186/korea.000000258073.11009.0001238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연구배경 스마일수술에서 난시정도가 많을수록 수술 후 저교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난시가 많은 눈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스마일수술에서 난시가 많은 눈의 수술 후 임상적 성적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20년 11월부터 2021년 2월까지 단일 안과에서 1명의 술자에게 스마일 수술을 받은 환자 170명(339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현성굴절검사에서 난시가 2Diopter (D) 미만인 눈과 2D 이상인 눈으로 나누어 수술 후 1개월 및 6개월의 굴절률, 시력, 구면렌즈대응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전 난시가 2D 미만인 눈은 308안 이었으면 평균 근시값은 -0.85 ± 0.46 였고, 난시가 2D 이상인 눈은 31안 이었으며 평균 근시값은 -2.25 ± 0.26 이었다. 수술 1개월 후 근시는 각각 0.35 ± 0.36D, 0.28 ± 0.39D였고(p=0.274), 난시는 각각 -0.21 ± 0.23D, -0.31 ± 0.26D였다(p=0.293). 나안시력 및 최대교정시력은 각각 -0.02 ± 0.10 logMAR, -0.002 ± 0.09 logMAR였고(p=0.316), -0.02 ± 0.50 logMAR, -0.005 ± 0.05 logMAR였다(p=0.268). 수술 6개월 후 측정한 굴절률은 각각 +0.46 ± 0.35D, +0.50 ± 0.34D였고(p=0.464), 난시는 각각 -0.18 ± 0.20D, -0.28 ± 0.23D였다(p=0.100). 나안시력 및 최대교정시력은 각각 -0.06 ± 0.06 logMAR, -0.03 ± 0.08 logMAR였고(p=0.203), -0.03 ± 0.50 logMAR, -0.04 ± 0.05 logMAR였다(p=0.791). 결론 스마일수술에서 난시가 2D 이상인 군의 수술 결과는 난시가 2D 미만인 군과 비교하여 수술 6개월 후 시력 및 굴절검사결과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난시가 2D 이상일 경우에도 스마일수술이 좋은 수술 성적을 보였다.

more

목차

1. 서론 1
2. 대상 및 방법 2
3. 결과 5
4. 고찰 7
5. 결론 10
부록 11
참고문헌 16
영문초록 2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