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 사용자들의 시맨틱 웹 접근을 위한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ystem for novice users to access the Semantic Web
초록/요약
시맨틱 웹 환경에서 자원들은 링크드 데이터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링크드 데이터에 의한 연결이 풍부해지면 데이터 간의 의미적인 연결이 수행된 시맨틱 웹이 구성 가능하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는 선행 지식 없이 링크드 데이터를 활용하는 진입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시맨틱 웹 전반에 대한 선행지식이 없는 사용자가 벤다이어그램을 활용하여 모델을 선택하는 것 만으로 데이터 간의 관계를 링크드 데이터 형식으로 구성할 수 있게끔 하였다. 또한 워드 임베딩에서 표현하는 분포 가설을 바탕으로 기존의 방법에서 연결이 발견되지 않은 개념도 간접적으로 추적하고 이에 해당하는 의미를 찾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로서 사용자는 복잡한 시맨틱 웹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저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 시맨틱 웹 전문가들은 시맨틱 웹 상의 데이터 부족에 제한받던 상황이 완화된다.
more목차
1 서론 1
1.1 연구 배경 및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2 논문의 구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2 관련 연구 9
2.1 벤 다이어그램 관계 저작 . . . . . . . . . . . . . . . . . . . . . . . . 9
2.2 지식 그래프 피쳐 매핑 . . . . . . . . . . . . . . . . . . . . . . . . . 12
3 벤 다이어그램 관계 저작 시스템 14
3.1 시나리오 및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3.1.1 전체 사용 시나리오 . . . . . . . . . . . . . . . . . . . . . . . 16
3.1.2 벤 다이어그램 선택 관계 정의 시나리오 . . . . . . . . . . . . 16
3.1.3 벤 다이어그램의 분류 . . . . . . . . . . . . . . . . . . . . . . 17
3.1.4 포함 모델의 소분류 . . . . . . . . . . . . . . . . . . . . . . . 18
3.1.5 벤 다이어그램 저장 방식 및 깊이 계층 . . . . . . . . . . . . . 19
3.2 벤 다이어그램 알고리즘 . . . . . . . . . . . . . . . . . . . . . . . . . 20
3.2.1 일부 겹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3.2.2 포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3.2.3 정의된 계층 세부 구성 . . . . . . . . . . . . . . . . . . . . . 24
3.3 벤 다이어그램 관계 저작 시스템 구성 . . . . . . . . . . . . . . . . . 27
3.3.1 규칙 추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3.3.2 엔티티 선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3.3.3 벤 다이어그램 선택 . . . . . . . . . . . . . . . . . . . . . . . 29
3.3.4 관계를 트리플 형태로 입력 . . . . . . . . . . . . . . . . . . . 31
3.3.5 쿼리 실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3.3.6 시나리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3.4 실험 설계 및 논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3.4.1 사회 교과서 과목 적용 . . . . . . . . . . . . . . . . . . . . . 37
3.4.2 논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4 링크드 데이터베이스 피쳐 매핑 시스템 45
4.1 연구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4.1.1 임베딩 벡터 맵 . . . . . . . . . . . . . . . . . . . . . . . . . 45
4.1.2 지식 베이스 연결성 . . . . . . . . . . . . . . . . . . . . . . . 46
4.1.3 시맨틱 웹 글로벌 벡터 맵 구성 . . . . . . . . . . . . . . . . . 47
4.1.4 t-SNE를 이용한 벡터 맵 시각화 . . . . . . . . . . . . . . . . 47
4.2 지식 베이스 연결 알고리즘 . . . . . . . . . . . . . . . . . . . . . . . 48
4.2.1 링크드 데이터 피쳐벡터 적용사례 . . . . . . . . . . . . . . . 48
4.2.2 두개의 피쳐 맵 통합 방법론 . . . . . . . . . . . . . . . . . . 52
4.2.3 피쳐 맵 통합 결과 분석 . . . . . . . . . . . . . . . . . . . . . 54
4.3 링크드 데이터베이스 연결 시스템 구성 . . . . . . . . . . . . . . . . 55
4.3.1 입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4.3.2 해시 함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8
4.3.3 피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0
5 결론 61
Bibliography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