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古典仮名遣い系統の仮名遣書に見られる非古典仮名遣い表記について―『源氏物語』の表記と比較して―

고전 가나 표기법 계통의 가나 표기법서에 보이는 비(非)고전 가나 표기법 표기에 대하여 - 겐지 이야기에 드러나는 표기와 비교하여

초록/요약

가나 표기법서는 저자가 올바르다고 생각한 가나 표기법을 제시한 자료로, 일부 자료는 본문에서 주로 다루는 가나 표기법과 다른 형태로 쓰인 단어를 수록하기도 한다. 그것이 잘못되었으니 그렇게 쓰지 말라는 의도로 수록한 자료도 있고, 단순히 다른 형태의 표기법을 같이 나열했을 뿐인 자료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전 가나 표기법 계통의 가나 표기법서를 대상으로, 각 자료에 실려 있는 비(非)고전 가나 표기법 표기에 대해 고찰하였다. 姜(2020)에서 테이카 가나 표기법 계통의 가나 표기법서에 드러난 표기와 비교했는데, 본 논문에서는 겐지 이야기의 표기와 비교하였다. 비교 대상으로 겐지 이야기를 고른 건 당시 국학자들 사이에서 연구가 활발히 되고 있는 작품이었고 그만큼 국학을 배우는 사람들에게도 친숙했을 자료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국학자에게 ‘올바른’ 가나 표기법은 고전 가나 표기법이었으므로 학습자에게 그렇지 않은 표기법과 구분을 시킬 필요가 있었다. 가나 표기법서를 제작하는 사람들도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고, 비(非)고전 가나 표기법으로 쓰인 용례를 찾기 위해 다양한 작품을 참고했으리라 생각된다. 겐지 이야기는 그 중 하나로 이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姜(2020)에서 조사했을 때 일부 출처를 알 수 없는 표기가 나왔는데 이번 조사에서 그 중 일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가나 표기법서 저자가 책을 쓸 때 다른 가나 표기법서 외 다양한 자료를 참고한다는 것을 단편적으로나마 알려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