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2000년대 이후 한국 드라마 제작 시스템 연구 : 드라마 기획 방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orean Drama Production System Since 2000s : Focusing on Drama Developing Methods

초록/요약

이 연구는 2000년대 이후 미니시리즈 드라마의 제작과 관련해, 기획의 주도권과 원작의 출처, 집필 체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드라마의 기획 방식을 드러내고, 기획과정을 둘러싼 역학과 작동 방식을 분석했다. 특히 드라마 산업의 경쟁 판도가 바뀐 2010년 이후의 드라마 기획 방식을 중점적으로 분석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0년부터 2020년까지, 미니시리즈 드라마와 관련한 시기적 변화와 원작 출처의 변화를 알아봤으며, 둘째, 2010년 이후 A급 작가의 보유 여부에 따라 드라마 기획 방식은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아보았다. 이 연구는 양적 방법론과 질적 방법론을 함께 사용했다. 양적 방법론인 통계를 통해 한국 미니시리즈 드라마 편성의 현실을 알아내고, 질적 방법론인 심층 인터뷰를 실시해 그 현실이 구성된 의미를 알아보았다. 드라마 제작진에게는 A급 작가의 확보가 드라마 편성에 성공하는 전략이었다. 그러나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이는 모든 드라마 제작 주체에게 가능한 전략이 될 수 없었다. 따라서 A급 작가의 보유 여부에 따라 드라마 기획 방식은 ‘작가 주도형 기획 방식’과 ‘프로듀서 주도형 기획 방식’으로 다원화되었다. 방송사로부터 편성을 보장받는 A급 작가는 ‘작가 주도형 기획 방식’을 통해 드라마의 창의성의 체계를 내재화하는 것으로 보인다. A급 작가는 과거의 1인 집필 체계를 벗어나 보조 작가, 공동 작가를 채용하면서 집단 창작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A급 작가는 신인 작가를 양성하면서 기획의 주도권을 가진 크리에이터가 된다. 이를 통해 A급 작가는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추구한다. 프로듀서들은 비 A급 작가들과 함께 프로듀서 주도형 기획 방식을 통해, 역시 드라마 창의성의 체계를 내재화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프로듀서는 비 A급 작가와 드라마를 기획하면서 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해 다음의 전략을 취한다. 첫째, 원작을 확보하려 한다. 둘째, 기획PD를 활용하여 기획의 생산성을 높이는 전략을 취한다. 이런 과정에서 웹툰, 소설, 해외 드라마와 같은 외부의 원작의 저작권 구매가 드라마 기획의 중요한 활동이 되고 있다.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역사적인 맥락 2
제2절 A급 작가의 이동 4
제3절 드라마의 기획 6
제4절 연구 목적 8
제5절 논문의 구성 9
제2장 이론적 논의 11
제1절 창의성의 체계 모형이론 12
1. 개인과 현장, 그리고 영역 13
2. 드라마에 적용하는 창의성 체계 모형 13
3. 창의성의 체계 모형이론에 대한 비판 15
제2절 유연전문화 17
1. 유연전문화의 개념 17
2. 할리우드의 유연전문화 18
3. 텔레비전 산업의 유연전문화 20
4. 국내의 유연전문화 선행 연구 검토 21
제3절 드라마 기획 방식 선행 연구 검토 23
제3장 연구문제와 연구 방법 25
제1절 연구문제 25
제2절 연구 방법 29
1. 심층 인터뷰 30
2. 드라마 원작 출처의 변화에 대한 분석 방법 33
3. A급 작가의 기획 방식 분석 방법 37
4. 제작사 유형에 대한 분석 38
제4장 시기적인 변화(분석 제1장) 41
제1절 1단계(2000∼2009년): 풍요의 시대 43
제2절 2단계(2010∼2016년): 파괴의 시대 46
제3절 3단계(2017∼2020년): 기회의 시대 51
제4절 드라마 규모 추이로 본 시기적인 변화 55
제5절 드라마 기획 출처의 시기적인 변화 59
1. 원작 이용 보편화와 다양한 출처의 활용 62
2. 원작 중점 이용과 웹툰의 인기 63
3. 원작과 웹툰의 이질성: 삼차원 구도 형성 66
4. 방송사별 원작 출처 이용 67
5. 정리: 드라마 원작 출처의 시기적 변화 69
제5장 A급 작가의 기획 방식(분석 제2장) 71
제1절 A급 작가의 정의 72
제2절 A급 작가 보유와 제작사의 대응 76
1. A급 작가 보유와 전체 규모에 따른 제작사 유형화 76
2. 제작사 유형별 작가, 출처 이용 현황 77
3. 대형 일반 제작사와 영세 제작사의 생존 전략 80
제6장 A급 작가의 기획 방식: 작가 주도형 기획 (분석 제3장) 83
제1절 A급 작가의 외부 원작 이용 87
제2절 크리에이터 집필 체계(A급 작가의 프로듀서화) 90
1. 크리에이터의 역사 90
2. 프로듀서를 대체한 크리에이터의 역할 93
3. 크리에이터 체계의 유연전문화 흐름 94
제7장 프로듀서 주도형 기획 방식(분석 제4장) 96
제1절 일반 작가의 기획 방식: 프로듀서의 주도 96
제2절 원작과 작가를 발견하는 기획PD 98
제3절 전문 프로듀서 주도형 기획: tvN의 예 100
제4절 정리 101
제8장 결론: 연구의 정리와 한계 104
부록 109
감사의 글 12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