テキストにおける指示詞の使用様態に関する日韓対照研究 ― 新聞社説の分析を中心に ―
Korean-Japanese Contrastive Study on the Aspect of Demonstratives Usage Found in Texts : Based on an Analysis of Newspaper Editorials
- 주제(키워드) 신문 사설 , 지시사 , 문맥지시 , 결속성 , 한일대조연구 , Newspaper editorial , Demonstratives , Anaphoric usages , Grammatical cohesion , Korean-Japanese contrastive study
- 발행기관 한국일본학회
- 발행년도 2019
- 총서유형 Journal
- KCI ID ART002446507
- 본문언어 일어
초록/요약
본 논문은 학습자의 작문에서 보이는 위화감에 관하여 결속성의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의 일환이자 결속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 중 하나인 지시사(指示詞)에 초점을 맞춘 연구이다. 분석 자료는 첫 단계로 한국어 신문 사설과 그 일본어 번역판을 자료로 하여 다음 단계로 번역되지 않은 한국어와 일본어 신문 사설을 자료로 각각 2단계, 총 4종류로 나누어서 수집하였다. 분석 방법은 1단계에서 번역된 일본어 사설에 지시사가 얼마나 나타나는가를 제시한 후, 일본어 지시사에 대응(對應)하는 한국어를 조사하였다. 2단계에서는 1단계의 분석에서 얻은 결과를 반영하여 본고에서의 한일 지시사 대응표를 작성하려고 시도하였다. 이어서 작성한 대응표에 포함된 표현들을 기준으로 일본어와 한국어 신문 사설에서 각각 얼마나 사용되고 있는지 개수를 중심으로 관찰하였다. 분석 결과 1단계에서 일본어 지시사에 해당하는 한국어 원문은 ‘이, 그, 저’ 형태가 선호되기 때문에 형태적 교체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다수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확인 건수는 적으나 コ계열과 ソ계열 간의 교체 현상 등도 볼 수 있었다. 2단계 결과에서는 일본어 사설에서의 지시사 사용이 한국어 사설의 약 2배가량 관찰되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일본어와 한국어의 텍스트에서 보는 지시사 사용 양태는 사용 빈도를 포함해 차이가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