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大觀齋 沈義의 詩 硏究

Study on Shim Ui poetry

초록/요약

본고는 󰡔大觀齋亂稿󰡕에 수록된 沈義 詩의 형식적, 내용적 특징을 밝히고, 심의가 가진 고유한 문학사적 위치를 특정하고자 하였다. 첫째로 편차상의 특징을 밝혔다. 심의는 󰡔대관재난고󰡕에서 古詩를 五言·七言으로 나누고, 다시 長篇·短篇으로 나누어 四言詩와 함께 고시에서 5개의 목록을 두고 있다. 이러한 편차 방법은 조선시대 역대 문집·선집을 통틀어 찾아보기 어려운 방식이며, 중국에서 발행된 󰡔古文眞寶󰡕와 󰡔性理群書󰡕 등의 선집에서 제한적으로 보인다. 이런 편차를 통해 심의는 辭·賦 및 고시에 대한 취향을 유감없이 발휘해 다수의 得意作을 싣고 있다. 둘째로 심의 작품이 가진 넓은 스펙트럼을 들 수 있다. 심의는 51세에 그의 대표작인 「大觀賦」, 「小觀賦」를 지어 작품의 내용과 사고방향에서 넓은 스펙트럼을 드러냈고, 이를 해설하기 위해 「達觀賦」를 지어 이전의 작품이 가진 의의를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이런 넓은 스펙트럼은 심의의 여러 작품들을 통해 드러난다. 「石虛中賦」, 「幽懷」, 「示諸生」 등이 정채로운 표현과 정제된 내용 전개를 통해 심의가 가진 도학적 자세와 유가적 지향을 드러내는 한편, 「豹刻子行」, 「止酒馬」 등은 풍자적 표현과 자유롭고 질박한 내용 전개를 통해 심의가 가진 날카로운 비판의식과 해학에 대한 깊은 조예를 드러낸다. 심의는 寓言을 활용하여 자신의 시적 지향을 창의적이고 다변적으로 드러냈다. 셋째로 심의의 중국 시학에 대한 수용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심의는 󰡔文選󰡕 소재 작품을 다수 의작했고, 唐詩에 대한 지향을 드러냈으며, 宋詩의 詩體를 모의한 작품을 남겼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文選󰡕의 수용 양상과 당시에 대한 지향만을 일부 밝혔을 뿐이기에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문선󰡕의 수용은 중종 연간(1506-1544) 간행된 󰡔오신주 문선󰡕에 큰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짐작되며, 특히 賜暇讀書의 기간을 통해 동학들과 함께 공부하며 여러 詩體를 시험하고 학습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심의는 다수의 擬作을 통해 직접적이고 적극적으로 󰡔문선󰡕에 대한 학적 지향을 드러내고 있다. 심의는 “한 단락씩 다시 쓰기”를 통해 󰡔문선󰡕 소재 원본 시의 시체를 模作하였고, 이런 방법은 심의가 쓴 대부분의 󰡔문선󰡕 의작시에서 일관되게 살필 수 있다. 심의는 歸田園的 의식 세계, 현실에 대한 비판, 知音에 대한 갈구 등을 도가적 표현을 다수 사용하여 풀어놓고 있다. 심의의 내면세계는 詠懷詩, 詠史詩, 交遊詩에서 특징적으로 드러나며, 劍과 酒는 내면세계를 반영하는 주요 소재로써 기능했다. 심의의 시세계가 담고 있는 중심 의식은 시인의 강렬한 자존감과 이를 수용하지 못한 현실과의 충돌로 인해 나타난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양상은 격렬하게 드러날 수도, 그다지 드러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시의 기저에는 자기 자신에 대한 강한 믿음과 자존감이 자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more

목차

Ⅰ. 서론 1
Ⅱ. 沈義의 시세계 형성 배경과 󰡔大觀齋亂稿󰡕의 체제 9
1) 沈義의 生涯와 交遊 9
① 가문적 배경 9
② 賜暇讀書와 문학적 성숙 10
③ 관직생활의 난관과 己卯士禍 13
④ 문학적 완성과 말년의 交遊 18
2) 󰡔大觀齋亂稿󰡕의 성립과 체제상의 특징 27

Ⅲ. 沈義의 시세계 양상 32
1) 沈義의 시적 지향 32
2) 沈義 시의 양상 39
(1) 󰡔文選󰡕과 古詩 40
① 賜暇讀書의 경험과 󰡔文選󰡕 擬作 40
② 不遇의 경험과 술과 칼의 意象 57
(2) 自意識과 知音 73
① 詠史詩에 담긴 자의식 73
② 知音에 대한 갈증 82
(3) 文學世界의 완성과 寓言的 경향 92

Ⅳ. 결론 113
參考文獻 11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