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인·중국인 일본어학습자의 거절표현의 담화구조 연구 : 일본어 모어화자와의 비교를 통하여

초록/요약

ʻ거절ʼ담화는, 상대방의 의향에 반하여 수행 되어야만 하기에, 관계에 피해를 끼칠 위험성을 가진 언어행동으로써 사람들의 생활에서 활용되고 있다. 모국어 화자에 있어서도 어려운 행동의 하나이지만, 더욱이 학습자는 ʻ거절ʼ을 제 2외국어로 표현해야 하므로 커뮤니케이션 상 오해나 실패를 초래하나, 모국어 화자에 위화감을 조성하거나 하는 일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국립국어연구소의 I-JAS코퍼스의 ʻ거절ʼ의 기능이 드러나는 롤플레이 회화를자료로 이용하고 중국인 일본어 학습자 30명과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 30명, 비교대상인 일본어 모 어 화자 16명을 대상으로, 윗사람에 대한 ʻ의뢰장면에 있어서의 거절 담화ʼ에 사용한 ʻ의미공식ʼ에 대해 자세하게 비교, 분석한 후 각각이 가지는 특징 혹은 공통점이나 차이점에 대해 연구를 행하였다. 그 결과, 의뢰장면에 있어서의 거절 담화에서, 중국인 일본어 학습자와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가 일본어 모어 화자와의 차이가 크게 나타난 것은 ʻ결론ʼ, ʻ사죄ʼ, ʼ대안제시ʼ, ʻ회피ʼ의 네 가지 의미공식이 있고, 중국인 일본어 학습자와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와의 사이에 현저한 차이가 보인 것 은, ʻ공감ʼ, ʻ행동요구ʼ, ʻ배려ʼ, ʻ망설임ʼ의 네 가지 의미공식이다. 그리고, 중국인 일본어 학습자와한국인 일본어 학습자, 일본어 모어 화자의 사이에 그다지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부분은 ʻ이유설명ʼ, ʻ감사ʼ, ʻ조건제시ʼ의 세 가지 의미공식이다. 또한 중국인 일본어 학습자와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를 성적별로 상급, 중상급, 중급의 세 가지 그룹으로 나누어, 윗사람에 대한 ʻ의뢰장면에 있어서의 거절 담화ʼ의 구조에 대하여 분석연구를 행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중국과 한국의 일본어 학습자, 그리고 일본어 모어 화자에 있어서 거절 담화의 의미공식에 대하여 고찰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며, 일본어 교육에서는 이러한 차이점을 인식하면서 거절의 언어에 관한 교육을 행할 때, 보다 한층 더 적절한 교재를 구상할 수 있는 가능성을 부여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였다고 생각한다.

more

목차

Ⅰ.들어가며 1
Ⅱ.선행연구 4
2.1 의뢰에 대한 거절담화 4
2.2 일본인의 거절담화 8
2.3 한국인 및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거절담화 11
2.4 중국인 및 중국인 일본어학습자의 거절담화 14
2.5 한, 중, 일 3국의 비교 17
2.6 본 논문의 입장 17
Ⅲ.연구방법 19
3.1 분석자료 19
3.2 분석방법 20
3.3 분석대상 31
Ⅳ.분석 및 고찰 33
4.1 거절담화의 의미공식에 대한 한, 중, 일 비교 33
4.1.1 한국인 일본어학습자 33
4.1.2 중국인 일본어학습자 34
4.1.3 일본어 모어화자 35
4.1.4 거절담화의 의미공식에 대한 한, 중, 일 비교 36
4.2 학습수준별 거절담화 구조에 대한 한, 중 비교 72
4.2.1 한, 중 상급 일본어학습자의 비교 73
4.2.2 한, 중 중상급 일본어학습자의 비교 75
4.2.3 한, 중 중급 일본어학습자의 비교 80
Ⅴ.결론 및 향후 과제 85
참고문헌 8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