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베트남사 서술변화 분석과 제언 : 2007~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주제(키워드) 동아시아사 , 동아시아사 교과서 , 베트남 역사 , 베트남사 서술 , 베트남사 인식 , 한국의 베트남사 교육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조영헌
- 발행년도 2020
- 학위수여년월 2020. 8
- 학위구분 석사
- 학과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 원문페이지 101 p
- UCI I804:11009-000000231352
- DOI 10.23186/korea.000000231352.11009.0001170
- 본문언어 한국어
- 제출원본 000046041460
초록/요약
2020년 현재의 시점에서 한국과 베트남 간의 교류는 점차 증진하고 있다. 외교적으로 베트남과의 관계는 공고해지고 있으며, 인적ㆍ물적 교류 또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자연히 한국과 베트남 간의 상호인식에 대한 필요성 및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한국에서의 베트남에 대한 인식을 <동아시아사> 교과서에서의 베트남사 서술의 양상을 연구해봄으로써 고찰해 보고자 한다. 고등학교 선택과목인 <동아시아사>는 동아시아의 역사적 갈등을 완화시키고자 하는 근본적인 목적과 더불어 일국사를 넘어 지역사적 인식으로서 동아시아를 바라보아야 한다는 학계의 연구를 반영하여 신설되었다. 그런데 동아시아의 범위 및 정체성과 관련되어 중요하게 다루어졌던 베트남사의 내용은 점차적으로 줄고 있다. 이러한 현황은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통상적으로 한ㆍ중ㆍ일 3국이 동아시아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동아시아사> 교육과정 신설시, 연구진들은 베트남을 '동아시아사' 범위에 포함하였다. 그 근거로는 일차적으로 전근대시기의 동아시아 지역 내 활발한 교류로 베트남 또한 한자 중심의 동질성을 지닌 문화권을 형성했다는 것, 그리고 근ㆍ현대시기에는 동아시아의 역사적 경험이 동일 선상에서 진행되었다는 점을 참작하여 같은 동아시아의 일원으로 바라볼 수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런데 <동아시아사> 교육과정이 변화하는 과정에서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의 대강화에 따른 내용 감축, 더 나아가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의 북부 베트남에 한정한 지역범위와 ‘유교ㆍ율령ㆍ베트남 전쟁’에 한정하여 내용요소가 명시되면서 이를 반영한 2015 개정 교육과정『동아시아사』 교과서에서는 베트남사 비중이 대폭 줄어들었다. 현장성을 참작해야 하는 교육과정 상의 베트남사 분량 축소는 불가피한 점이 있다. 그러나 교과서에서의 베트남사 서술 축소와 단편성으로 인해 학생들의 역사인식에 지장이 생긴다면, 분량 감축을 위해 본래 ‘동아시아사’ 학습의 목적을 등한시하는 것은 주객이 전도된 모습일 것이다. 게다가, 현장에서 베트남사에 대한 반응이 긍정적이었다는 점과 베트남사의 중요성이 증진되고 있는 사회적 상황을 고려한다면 베트남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고는 <동아시아사>가 변천하는 과정에서 베트남사 서술이 어떻게 변화ㆍ축소되었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베트남사 서술변화가 동아시아사의 취지 및 베트남사 인식에서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추후 개정될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반영되어야 할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행 2015개정 『동아시아사』 교과서로는 한ㆍ중ㆍ일 위주의 서술이 진행되어 베트남이 동아시아의 일원으로서 파악되기 힘들며, 이는 동아시아사의 방향성과 어긋난다. 베트남사의 과도한 내용축소로 인해 동아시아 전체를 이해하는데도 문제가 있었지만, 베트남사를 인식하는 데에서도 일정한 문제가 존재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베트남 내용요소를 통시적으로 구성해보았을 때, 마치 일정 시기의 베트남은 역사가 없는 지역이라는 인상을 주었다. 적어도 베트남과 동아시아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내용들은 포함시켜주어 베트남사 인식에 오류를 야기할 수 있는 부분을 명확히 해줄 필요성이 있다. 학습부담경감이 중요시되는 만큼 교과서 분량의 축소도 물론 고려해야 하지만, 베트남사 서술 축소로 인해 동아시아의 목표에 역사인식의 오해가 생기거나 이해하는데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부분들은 추가하여 학습자가 동아시아와 베트남 양측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more목차
I. 머리말 01
II. 2007~2015 개정 교육과정 <동아시아사> 내용의 변천 09
1. 2007 개정 교육과정 ; 베트남사의 도입 09
2. 2009 개정 교육과정 ; 베트남사의 위축 19
3. 2015 개정 교육과정 ; 베트남사의 축소 22
III. 동아시아사 의 베트남사 서술 변화 분석 32
1. 서술분량의 변화 32
2. 내용요소의 변화 35
(1) 전근대사 39
(2) 근현대사 66
Ⅳ. 베트남사 서술에 대한 개선방향 72
1. 베트남사 교육의 필요성 72
2. 동아시아 문화에 대한 추가 서술 75
3. 균형잡힌 시각을 반영한 중-월 관계사 78
4. 베트남 인명 표기법 88
Ⅴ. 맺음말 89
참고문헌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