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고등교육 책무성 확보기제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정책방향 탐색 : A Critical Analysis on the Current Accountability Mechanisms in Korean Higher Education
A Critical Analysis on the Current Accountability Mechanisms in Korean Higher Education
- 주제(키워드) 고등교육 , 책무성 , 책무성 확보기제 , 책무성 정책 , 책무성 유형 , higher education , accountability , accountability mechanism , accountability policy , types of accountability , Korea
- 발행기관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 발행년도 2013
- 총서유형 Journal
- UCI G704-000733.2013.14.1.003
- KCI ID ART001753965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논문의 목적은 고등교육 책무성에 대한 요구가 강화되고 있는 사회적 맥락 속에서, 현재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책무성 확보기제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 미래 고등교육 책무성 확보정책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고등교육 책무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분석틀을 설정하고 현행 고등교육 책무성 확보기제를 (1) 대상 및 수단, (2) 관점(정부-시장-전문가/대학), (3)환경적 맥락의 세 가지 차원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과 개인 차원을 막론하고 정치적/관료적 책무성과 시장적 책무성 확보기제에 비해 전문적 책무성 확보기제가 매우 미흡하고, 동시에 현행 책무성 확보기제는 고등교육 체제를 둘러싼 급격한 환경적 변화에 따른 고등교육 패러다임 변화를 담아내는데도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서 (1) 국가(정부)·시장·전문가(대학)의 입장이 균형있게 반영될 수 있는 거버넌스의 구축, (2) 전문적 책무성 확보기제의 강화 및 전문가 실패 보완장치의 마련, (3) 기관의 특성·미션·역량을 고려한 유연한 책무성 확보 정책 등이 향후 정책방향으로 제시되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