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巫山一段雲>與韓國詞創作 : WushanYiduanYun and the Development of Ci Poetry in Korea

WushanYiduanYun and the Development of Ci Poetry in Korea

초록/요약

일부 중국의 문학작품은 본토에서는 그다지 눈길을 끌지 못하다가 외부로 흘러들어 가면서 도리어 영향을 준 경우가 왕왕 있다. 바로 <巫山一段雲>이 그러하다. 특히 중국 송대에 유행했던 사는 고려ㆍ조선으로 들어와 고려ㆍ조선사라는 새로운 길을 열었다. <巫山一段雲> 사패 중국본은 중국 사인들에게 그다지 환영을 받지 못했으며 가작도 비교적 적다. 그러나 고려 詞壇의 명인 李齊賢이 한국으로 돌아온 후에 비로소 광범위하게 流轉,사용되면서 깊은 영향을 주었다. 한국의 역대 문사들은 <巫山一段雲>의 詞 형식으로 산수풍경을 묘사하고 일상풍물을 읊조리면서 자신의 흉금을 토로하였다. 이는 수백 년 동안 이어져 왔으며, 이로 인해 한국사학사상 ‘<巫山一段雲> 현상’이 생겨났다. 본고는 역대 한국의 <巫山一段雲> 詞의 대표적인 특징인 제재의 풍부함, 풍격의 다양함, 세속화되어 가는 경향 등을 통해 한국의 詞 작품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