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국가별 교육효율성 지수의 측정 및 활용 : The Cross-Country Measurement of Education Efficiency and Its Application

The Cross-Country Measurement of Education Efficiency and Its Application

초록/요약

교육투자와 총합적 경제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한 선행의 실증연구에서는 한 국가의 교육투자의 정도를 나타내기 위해 1~2개의 교육성과 지표 혹은 교육 투입비용을 사용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료가 가용한 120개 국가의 양적 확대, 질적 개선 및 기회 균등을 반영하는 교육지표를 이용해 국가별 교육성과와 교육효율성 지수를 측정했다. 비록 교육성과가 높은 국가에서 대체로 교육효율성 지수가 높게 측정됐지만, 상당수의 국가에서는 양자 간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교육효율성 지수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지 검토하기 위해 교육효율성 지수가 소득지니계수로 나타낸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실증분석 결과 교육효율성 지수는 모형 및 표본의 선택에 관계없이 소득불평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됐다. 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