栗谷의 『聖學輯要』에 나타난 家교육의 位相 : Status of Education for Family(家, Ga) appearing in the Essentials of the Studies of the sage(聖學輯要, Seong Hak Jibyo) by Yulgok(栗谷)
Status of Education for Family(家, Ga) appearing in the Essentials of the Studies of the sage(聖學輯要, Seong Hak Jibyo) by Yulgok(栗谷)
- 주제(키워드) family(家 , Ga) , education for family , cultivating oneself(修己 , Sugi) , righteous family(正家 , Jeongga) , governing(爲政 , Wejeong) , regulating others internally , living , recovering oneself , 가(家) , 가(家)교육 , 수기(修己) , 정가(正家) , 위정(爲政) , 내부적 치인(治人) , 생활(生活) , 주체 회복
- 발행기관 (사)율곡학회
- 발행년도 2010
- 총서유형 Journal
- UCI G704-SER000010130.2010.20..005
- KCI ID ART001455955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전통사회에서 ‘가(家; 가정, 가족, 가문)교육’은 교육 가운데서도 기초이자 핵심에 속한다. 가(家)는 가족이나 가문의 구성원이 처음으로 경험하는 삶의 공간이자 교육의 마당이다. 서구의 경우에도 가정교육-학교교육-사회교육이라는 교육의 기본 마당을 설정하여 가정교육의 중요성을 논의한다. 유교의 경우, 교육은 소학(小學)-대학(大學)의 시스템을 통해 가(家)교육의 위치를 중층적으로 담고 있다. 본고는 율곡의 『성학집요』에드러난 가(家) 교육의 의미맥락을 통해 그 위상과 내용 및 실천의 양식을 검토하고, 현대 사회에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지 살펴본 것이다. 『성학집요』에서는 제2편 「수기(修己)」에 이어 제3편에 「정가(正家)」를 배치하고, 실제로 가(家)에서 행해야 하는 핵심사항을 명확하게 정돈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제4편 「위정(爲政)」으로 연결한다. 가(家)교육은 유교 교육과정의 핵심을 수기(修己)-치인(治人)으로 나누어 논의할 때 치인(治人)에 해당하는데, 치인(治人)을 내·외부로 나누어 이해하면 ‘내부적 치인(治人)’의 단계에 위치한다. 이런 점에서 율곡에게서 가(家)교육은 수기(修己)의 온전함을 통해 위정(爲政)으로 연결하는 거룩한 사업이다. 이는 ‘수기→정가→위정’을 현대적 의미에서, 개인교육(수양)→가정교육→공동체교육(정치)으로 도식화할 때, 그 위상을 가늠하게 한다. 요컨대, 율곡의 가(家)교육은 개인의 수양을 실제로 적용하는 최초의 공동체 교육이요,개인과 공동체(사회)를 연결하는 고리이자 공동체 생활의 연습장이며, 명분과 본분의 확인을 통해 삶의 주체적 회복을 꾀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