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국어교육과 매체언어문화 :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rts in Elementary School and Language-Culture based on Media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rts in Elementary School and Language-Culture based on Media
- 주제(키워드) language-culture based on media , media language education , variety show , paradigm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 curriculum enactment perspective , out-of-school literacies , primary discourse , secondary discourse , 매체언어문화현상 , 매체언어교육 , 버라이어티 쇼 , 교육과정 실행 패러다임 , 교육과정 생성 관점 , 학교 밖 문식성 , 1차 담화 , 2차 담화
- 발행기관 국어교육학회
- 발행년도 2010
- 총서유형 Journal
- UCI G704-001205.2010..37.001
- KCI ID ART001441802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은 매체언어문화현상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가?’, ‘초등교사는 매체언어문화현상을 어떻게 국어 수업으로 실행하는가?’이다. 초등학생들끼리 ‘버라이어티 쇼’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야기를 나누어 본 결과, 학생들의 담화는 모둠에 따라서 담화의 성격이 다르게 나타났다. ‘담화의 목적’과 ‘담화의 공간’에 대한 인식 차이로 볼 수 있다. 교실 공간은 학생들에게 ‘2차 담화’를 유도하여 매체언어문화현상에 대한 메타적 논의를 가능하게 한다. 초등 교사는 상황에 따라 의미 있는 매체언어문화현상을 포착하여 학습 목표와 내용을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이는 교육 과정 실행 패러다임을 ‘교육과정 생성 관점’으로 접근할 때 가능하다. 매체언어교육 내용은 ‘해석하기’, ‘생산하기’, ‘비판하기’ 기능과 관련된다. 세 가지 내용은 학교급에 상관없이 선택적으로 또는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이 활동들은 ‘지금 여기에’ 소통되고 있는 매체언어문화현상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매체언어문화현상과 관련하여 ‘학교 밖 문식성’의 개념과 연구 동향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