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각된 무용 자율성 지지 검사지의 개발과 교차 타당화 : Development and cross-validation of the perceived autonomy support scale in dance
Development and cross-validation of the perceived autonomy support scale in dance
- 주제(키워드) perceived autonomy support , self-determination theory , basic needs theory , dance education , multi-group analysis
- 발행기관 한국체육학회
- 발행년도 2010
- 총서유형 Journal
- UCI G704-000541.2010.49.2.007
- KCI ID ART001436356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 맥락에서 교사, 부모, 동료로부터 지각된 자율성 지지 검사지를 개발하여 교차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예술중고등학교 무용과 학생 689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구조방정식모델을 이용하여 학교급간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이 실시되었다. 무용 맥락에서 단일 차원의 8개 문항으로 구성된 교사, 부모, 동료들의 자율성 지지 검사지에 대해 각각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여 학교급간 각 검사지의 구인 동등성이 검증되었으며, 내외적 무용 행동조절과의 관계를 통해 예측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학교급간 자율성 지지요인의 잠재평균 차이를 비교한 결과 중학생이 고등학생과 비교하여 교사, 부모, 동료들로부터 자율성 지지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무용 자율성 지지 검사지는 무용전공 중고등학생이 교사, 부모, 동료들로부터 지각된 자율성 지지를 측정하는데 타당한 측정도구라고 할 수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