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서울시 통근통행의 공간구조 변화:1996~2002년 : Transformation of the Urban Spatial Structure by Commuting Trips in Seoul:1996~2002

Transformation of the Urban Spatial Structure by Commuting Trips in Seoul:1996~2002

초록/요약

서울의 공간구조는 1970년대 이후 종로를 중심으로 하는 도심부의 쇠퇴와 함께 한강이남의 여의도 일대 및 강남이 성장함에 따라 단핵구조에서 점차 다핵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도시구조 변화양상을 주거지와 직장사이에 규칙적으로 이루어지는 통근통행의 변화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공간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유동패턴의 변화와 함께, 유동패턴에 근거한 기능지역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동패턴은 한강이남의 성장에 따른 서울시 공간구조의 다핵화 및 분산화로 인해 1996년에는 10개가 추출되었지만 2002년에는 12개가 추출되었다. 유동패턴을 토대로 기능지역을 추출한 결과, 서울을 구성하는 각 하위기능지역의 범위가 협소해졌음을 확인하였으며 서울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한강이 기능지역 형성의 주요한 경계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시기에 걸쳐 기능지역은 권역적 중복에 의한 중층적 구조를 나타내었으며, 2002년 들어 기능지역이 훨씬 더 복잡한 양상으로 구조화 되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