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유전체보합법에 의한 위암의 염색체이상 분석 : Analysis of Genomic Imblances in Korean Gastric Carcinoma Using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Analysis of Genomic Imblances in Korean Gastric Carcinoma Using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 주제(키워드) 비교유전체보합법 , 위암 , 염색체이상 ,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CGH) , gastric cancers , chromosome aberrations ,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CGH) , gastric cancers , chromosome aberrations
- 발행기관 대한해부학회
- 발행년도 2004
- 총서유형 Journal
- UCI G704-000177.2004.37.6.003
- KCI ID ART000943269
초록/요약
종양의 염색체이상에 대한 세포유전학적 분석은 종양의 병인에 관련되는 다양한 유전자의 변형을 찾게 할 뿐 아니라, 질병의 진단과 예후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비교유전체보합법은 통상적인 세포유전학적 분석으로는 용이하지 않았던 모든 염색체 상에서의 상대적인 염색체 증감 변화를 한 번에 알 수 있게 해주며, degenerate oligonucleotide primed-polymerase chain reaction (DOP-PCR) 에 의한 비교유전체보합법은 미세해부로 얻은 아주 적은 양의 종양 DNA를 대상으로도 염색체이상을 분석할 수 있는 빠르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인에게 호발하는 위암 조직을 대상으로 DOP-PCR에 의한 비교유전체보합법을 시행하여 위암과 관련된 염색체이상을 밝히고자 하였다.그 결과, 비전이성 위암에서 흔하게 증가되는 염색체 부위는 8q (64%), 4p12-q24 (64%), 5p13-q23 (64%), 13q21-q32 (64%), 6q11-q21 (55%), 7q (50%), 14q11.2-q21 (45%), 3q11-q13.3 (41%), 2q23-q32 (41%) 등이었다. 전이성 위암에서 흔하게 증가되는 염색체 부위는 8p21-qter (60%)였으며, 그 외에 5번 염색체 (54%), 20번 염색체 (42%), 6pter-q24 (51%), 1q21-qter (46%), 3p14-qter (46%), 22q (46%), 4번 염색체 (43%)의 순서로 염색체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다. 감소부위는 증가부위 보다 적게 관찰되었으며, 비전이성 위암에서는 1p34-pter (23%), 16q23-q24 (18%), 19q13 (18%) 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한편, 전이성 위암에서 가장 흔히 감소하는 염색체는 X 염색체 (37%)와 1p33-pter (37%)이었고, 16p (23%)의 감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염색체이상 부위는 위암의 진행과 전이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규명하고 분석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것이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