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樓亭題詠의 시공간적 분포와 그 의미 : The spatio temporal distribution of Rujeongjeyoung (樓亭題詠) and its meanings

The spatio temporal distribution of Rujeongjeyoung (樓亭題詠) and its meanings

초록/요약

이 논문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에서 수행된 한국학술진흥재단 기초학문육성 지원과제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개발 및 그 응용연구’(The Development and Academic Application of the Electronic Cultural Atlas of Chosun Korea)의 결과물 중에서 누정제영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자료의 구축현황을 보고하고 몇 가지 사례 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과제팀 중에서 제3분과는 ≪新贈東國輿地勝覽≫에 소개된 275개의 누정 이름을 표제어로 하여 2818제의 누정제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이 논문은 이 정보를 가공, 처리한 자료를 분석하여 문학사의 의미를 고찰하였는데, 이는 한문학 연구에 전자 텍스트를 접목시키려는 방법론적 모색이기도 하다. 누정제영 데이터베이스는 앞으로의 과제인 작품 원문의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내용소 분석을 위한 전단계 작업이다. 본고에서는 이 작업의 결과물을 활용하여 조선시대에 창작된 누정제영의 시공간적 분포를 밝히고 그 의미를 조명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누정제영 연구는 국지적인 지역 연구에 머물렀던 한계를 극복하고 영역의 확대와 내용의 심화를 기대할 수 있다. 누정제영의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구축과정은 다음과 같다. 1) 데이터베이스 설계 (1) 대상자료 : ꡔ韓國文集叢刊ꡕ 1- 240권에 실린 누정제영 (2) 시기 : 조선건국(1392년)이후-18세기 중반 (3) 지역 : 조선시대 전역(한성부와 팔도를 대상으로 郡縣까지 표시) (4) 필드설계 : 주제, 공간, 창작연대, 시 제목, 작가 명, 누정제영의 유형, 시의 형식, 지역, 출전, 주석(작품 수, 시 원문) 2) 구축 방법 및 과정 (1) ꡔ신증동국여지승람ꡕ에 소개된 누정을 조사, 275개의 누정 이름을 확인하였다. (2) 누정 이름으로 ꡔ한국문집총간ꡕ 1- 240권까지 작품을 검색하여 2818제의 작품 목록을 작성하였다. (3) 서지 데이터베이스 모형을 설계하고, 박사과정에 있는 3명의 연구보조원이 10개월에 걸쳐 한글 프로그램으로 작성하였다. (4) 누정 이름을 표제어로 삼았다. 출전은 권수와 면수까지 표기하였으며, 창작 연대는 작가의 생몰 연대로 대신하였다. 지역은 고지명과 현재 지명을 병기하였고,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10%에 해당하는 작품 원문을 주석형태로 첨가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