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리튬 2次電池用 高分子電解質 및 陽極 特性에 關한 硏究

  • 학과코드 D5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大學院
  • 발행년도 1996
  • 학위구분 박사
  • UCI I804:11009-000000175904
  • 식별자(기타) DL:000015440752
  • 식별자(기타) METS:000000210878
  • 본문언어 한국어
  • 서지제어번호 000000472966

목차

Abstract = 4
목차 = 6
제1장 서론 = 17
제2장 이론적 배경 = 20
2.1.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 전도성 = 20
2.1.1. Poly(ethylene oxide)계 고분자 전해질 = 20
2.1.2. Poly(acrylonitrile)계 고분자 전해질 = 24
2.2. 전해질과 리튬 전국과의 계면 특성 = 30
2.3. 복합 양국의 충방전 특성 = 34
2.3.1. V(_6)O(_13) 복합 양극 = 34
2.3.2 LiC(_o)O₂복합 양극 = 37
제3장 실험방법 및 실험장치 = 42
3.1.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 = 42
3.1.1. Poly(ethylene oxide)계 고분자 전해질 = 42
3.1.2. Poly(acrylonitrile)계 고분자 전해질 = 44
3.2. 복합양국의 제조 = 44
3.2.1. V(_6)O(_13) 활물질에 대한 복합 양극 = 44
3.2.2. LiC(_o)O₂ 활물질에 대한 복합 양극 = 45
3.3. 실험 장치 = 45
3.4. 고분자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특성 측정 = 46
3.4.1 이온 전도도 및 계면 특성 = 46
3.4.2 전위-전류 특성 = 48
3.5. 고분자 전해질의 물성 분석 = 48
3.6. 리튬 고분자 전지 반응 및 충방전 실험 = 49
제4장 결과 및 고찰 = 52
4.1. Poly(ethylene oxide)계 고분자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특성 = 52
4.1.1. 이온 전도도에 대한 온도 효과 = 52
4.1.2. 리튬의 전착―용해 및 전기화학적 안정성 = 57
4.2. Poly(acrylonitrile)계 고분자 전해질의 물성 = 61
4.2.1. 표면조직 분석 = 61
4.2.2. X-Ray Diffraction 분석 결과 = 65
4.2.3.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분석 결과 = 71
4.3. Poly(acrylonitrile)계 고분자 전해질의 특성 = 75
4.3.1. 이온 전도도에 대한 온도 효과 = 75
4.3.2. 이온 전도도 및 계면 특성에 대한 가소제 비의 효과 = 75
4.3.3. 이온 전도도 및 계면 특성에 대한 리튬염의 효과 = 85
4.3.4. 리튬의 전착―용해 및 전기화학적 안정성 = 92
4.3.5. 고분자 전해질과 리튬 전극간의 분극 특성 = 95
4.3.6. 표면조직 및 열적 성질 = 101
4.4. 전지 반응 해석 = 106
4.4.1. Li/V(_6)O(_13) 전지 반응 = 106
4.4.2. Li/LiC(_o)O₂ 전지 반응 = 114
4.5. 충방전 특성 = 129
4.5.1. Li/V(_6)O(_13) 전지의 충방전 특성 = 129
4.5.2. Li/LiC(_o)O₂ 전지의 충방전 특성 = 133
제5장 결론 = 144
사용기호 = 147
참고문헌 = 15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