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도덕교과서와 피터싱어의 생명윤리
Moral Textbooks of Middle School and Bioethics of Peter Singer
- 주제(키워드) 도덕 , 도덕교과서 , 피터 싱어 , 싱어 , 생명 윤리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성창원
- 발행년도 2020
- 학위수여년월 2020. 2
- 학위구분 석사
- 학과 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 원문페이지 70 p
- UCI I804:11009-000000128196
- DOI 10.23186/korea.000000128196.11009.0000957
- 본문언어 한국어
- 제출원본 000046022144
초록/요약
생명이 있음으로 인해 모든 생명체는 존재하게 되고 그 존재의 의미를 실현하게 된다. 생명에 대한 정의는 매우 다양하여, 모든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정의를 이끌어내기란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한 존재를 살아있게 하는 힘으로써 한 생에 있어 유일하며 신비로운 힘임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생명은 인류의 문화와 역사 속에서 절대적이며 소중한 가치를 인정받아왔다. 이렇게 소중한 생명이라는 주제가 교과교육과정에서는 현저하게 낮은 비중으로 수록되어 있다. 전 교육과정인 7차 교육과정과 현 교육과정인 2015교육과정을 비교하여 봐도, 10%내외의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생명윤리교육이 내용마저도 빈약하다는 것이다. 생명에 관한 논쟁이 달라지고 있다. 생명에 관해 고민해야 할 주제들이 다양해지고 있고, 복잡해져 가고 있다. 유례없는 과학의 발전으로 생명공학, 의료기술의 발달, 장기 이식, 안락사, 뇌사, 생명복제, 유전자 조작 등, 여러 분야에 직·간접적인 논의가 계속되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생명윤리에 과한 해석이 과학계, 의료계, 종교계, 법조계 등에서 주제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어 지는 점 또한 생명윤리에 관한 이야기를 더 복잡하게 하고 있다. 단순하게 생각할 수 없는 생명에 관한, 생명윤리에 관한 주제를 ‘가치’를 다루는 도덕교과에서 더 깊고 다양하게 다루어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전통윤리를 거부하는 현대적 관점의 이론이 설명되어져야 한다. 피터싱어의 ‘인간(human)’과 ‘인격체(person)’개념을 통해 안락사와 낙태를 포함한 앞으로 파생될 많은 윤리적 문제를 더 깊고 폭넓게 다룰 수 있을 것이다. 천편일륜적인 기존의 생명윤리의 이론보다 많은 부분을 포괄할 것이라고, 연구자는 확신한다. 더불어서 생명의료윤리에서 여러 분야의 논쟁에 빠지지 않는 온정적 간섭주의(paternalistic act)를 접목시켜, 다양한 관점과 해석을 두고 고민하고 성찰하게 하는 철학적 반성을 통해 학생들이 생명에 관한 연구를 시작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지나치게 형식화된 교육과정, 거기에다 신자유주의 노선을 교육에 접목시켜 교육마저 경쟁이라는 논리로 이끌어가고자 하는 여러 방책들이 학교에서 마저 가치라는 개념을 묵살시키게 만드는 경우가 많다. 하여, 평가를 위한 공부가 아닌 생명외경에 관한 현대적 해석과 앞으로 더 다양해질 생명에 관한 다양한 문제를 교육과정에서 좀 더 심도 깊게 다루어야 한다고 본다. 본 연구는 앞으로 더 가속화 될 생명공학과 이에 따른 생명윤리, 생명존중의식을 중학교 도덕교과에서 시작하여, 생명존중의식을 함양하고, 생명윤리문제들을 재구성하여, 생명존중교육을 활성화하는 방안으로 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more목차
제 1장 서 론 1
제 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 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제 2장 본 론 6
제 1절 생명윤리의 개념 및 이론적 배경 6
1. 생명과 생명윤리, 생명윤리학의 개념과 범위 6
제 2절 중학교 도덕교과서 생명윤리교육 분석 10
1. 7차 교육과정 도덕교과서 생명윤리교육 분석 10
2. 2015 개정교육 과정 생명윤리교육 분석 15
3. 중학교 도덕교과서의 생명윤리 내용 분석 16
제 3절 철학적 반성 및 보완점 18
1. 피터싱어의 ‘생명윤리학’ 18
1) 생명윤리학의 전개 18
2) ‘인간(human)’과 ‘인격체(person)’ 19
3) 피터 싱어의 ‘임신중절’ 논의 24
4) 피터 싱어의 ‘안락사’ 논의 28
2. 온정적 간섭주의: 선행과 자율성 사이의 충돌 33
1) 온정적 간섭주의 33
2) 반(反)온정적 간섭주의 35
3. 생명윤리교육 교수-학습 37
1) NIE 수업모형 37
2) 가치갈등 수업 모형 41
제3장 첨언 및 제언 47
참고문헌 52
부록 55
ABSTRACT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