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국대륙과 대만의 마조(媽祖)·정성공(鄭成功) 영상 미디어 콘텐츠 비교 연구

  • 주제(키워드) 양안관계 , 드라마 비교 , 매체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최귀묵
  • 발행년도 2020
  • 학위수여년월 2020. 2
  • 학위구분 박사
  • 학과 대학원 비교문학비교문화협동과정
  • 원문페이지 223 p
  • UCI I804:11009-000000127901
  • DOI 10.23186/korea.000000127901.11009.0000951
  • 본문언어 한국어
  • 제출원본 000046022501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video content created in Mainland China and Taiwan using Mazu (媽祖) and Koxinga (鄭成功) as main characters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ross-strait relations on Mazu and Koxinga video content. First, I will identify the symbolism of the two characters on the two sides of the Strait and explore how they are repeatedly represented in each side’s popular culture to understand how this representation is associated with cross-strait relations. Mazu and Koxinga, the two prominent historical figures from China, are a legacy shared by Taiwan and the Mainland. Mazu, a sea goddess, was revered after her death as a tutelary deity of seafarers, and assigned the status of the Protector as her worship spread among the Chinese. Koxinga, a Chinese Ming loyalist in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ies, established the first Han Chinese polity in Taiwan. In Mainland China and Taiwan, numerous moving image contents have been created using Mazu and Koxinga as protagonists. Since 1949, a total of 15 works on Mazu and eight on Koxinga have been created in genres including films, TV series, animation films, animated TV shows, and documentary films. In each work, Mazu and Koxinga have been represented in diverse forms. When it comes to creating content about Mazu and Koxinga, both sides of the Strait were the same in that they deconstructed the lives of the two figures into parts and highlighted those serving their purposes. However, they were remarkably different in how the protagonists overcome adversities; while Taiwanese heroes overcome difficulties by setting goals themselves, Chinese counterparts are more likely to solve problems arising from the outside by the recognition of others. As for assisting characters, in Taiwanese videos, they are committed to the same cause to work together to overcome difficulties; in Chinese videos, the protagonists, given external goals through allegories of characters, accomplish the goals with the help of other characters who are often granted the necessary attributes that the protagonists lack, giving rise to “swearing brotherhood” episodes. Each side of the Strait has developed unique portrayals of Mazu and Koxinga in video contents by adding or deleting certain features to resolve conflicts between the two sides, including ethnicity, differences in the means of passing down history, separation of the Mainland and Taiwan, and disputes between benshengren (本省人) and waishengren (外省人) in Taiwan. Consequently, Mazu was embodied as the Protector in Taiwan, but as the guardian of the state in Mainland China. Moreover, while Koxinga of Taiwan symbolizes “Fan-qing Fu-ming” (反淸復明)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Taiwan, Koxinga of Mainland China focuses on the retaking of Taiwan. Inevitably, the Mazu and Koxinga contents created on either side of the Strait have influenced each other. A key variable in the influence was the period when related content was intensively produced in Mainland Chinain the early 2000s and early 2010s . Ever since, the Taiwanese contents relating to Mazu and Koxinga have changed. By the 1990s, Mazu or Koxinga in Taiwan were portrayed as helpers of people to resolve their problems. Then, during in the early 2000s and early 2010s, Mainland China pumped out Mazu and Koxinga contents made for Taiwan. In the early 2000s, Koxinga contents sent across a strong message on behalf of the government of Mainland China that it would incorporate Taiwan as a Chinese territory. In the searly 2010s, Mazu contents advocated peace, at the same time they sent across a message to Great China Region that it would not help unless they were not won over to a Chinese territory. Thereafter, the content market in Taiwan started losing its capability to produce videos, and as a result, the production of historical or large-scale video contents dwindled. Instead, Taiwan responded to meta-discourse in the Mainland by reorganizing Mazu and Koxinga content in subcultures, or by presenting historical data without any narratives.

more

초록/요약

본 연구는 중국 대륙(中國大陸)과 대만(臺灣)에서 제작된 마조(媽祖)·정성공(鄭成功) 제재 영상 미디어 콘텐츠를 비교하여 양안 관계(兩岸關係)가 마조·정성공 영상 미디어 콘텐츠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양안에서 마조·정성공이 갖는 상징성을 파악한 후, 양안 대중문화의 영역에서 이들이 반복적으로 재현되는 양상을 살펴보고, 이 양상이 양안 관계와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 해명해보고자 한다. 마조와 정성공은 중국 대륙 출신의 인물로 오늘날 중국 대륙과 대만이 공유하는 인물이다. 마조는 여신(女神)이자 해신(海神)으로 해상구난(海上救難)이라는 직능을 인정받아 호국신(護國神)이 되었고, 민간에 신앙이 널리 퍼지며 보호신(保護神)으로 직능이 확장되었다. 정성공은 명말청초(明末淸初) 시기의 인물로 대만 최초의 한인(漢人) 정권을 세운 인물이다. 중국 대륙과 대만에서는 마조와 정성공을 주인공으로 한 콘텐츠가 많이 제작되었다. 1949년 이후 중국 대륙과 대만에서 제작된 마조 콘텐츠는 총 15편이고, 정성공 콘텐츠는 총 8편이다. 마조·정성공 콘텐츠는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극장용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영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콘텐츠로 만들어졌으며, 작품마다 다양한 마조·정성공의 형상을 보여주었다. 양안의 마조·정성공 콘텐츠는 그들의 생애를 분절하여 각 콘텐츠에서 필요한 부분을 부각한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그리고 고난과 역경을 겪는 과정에서 대만 콘텐츠는 자신이 목표를 세우고 극복한다면, 중국 대륙의 콘텐츠에서는 외부로 인한 고난을 타인의 인정을 통해 해결한다는 차이가 두드러졌다. 또한, 마조·정성공을 중심으로 주변의 캐릭터 형상에 있어 대만 콘텐츠에서는 뜻을 함께하는 이들과 협력하여 고난을 이겨낸다면, 중국 대륙에서는 인물에 대한 알레고리 작업을 통해 이들이 가져야 할 목표를 외부에서 제시하였고 결연 에피소드를 삽입하여 상대방에게 자신이 가지지 못한 속성을 부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양안의 마조·정성공 콘텐츠는 양안이 겪고 있는 갈등 요소인 민족, 대만의 본성인(本省人)·외성인(外省人)의 갈등, 역사의 전승 방식에 대한 차이, 중국 대륙과 대만인의 분리를 해결하기 위해 몇몇 설정을 추가하거나 제외하는 방식으로 자신들만의 마조·정성공을 조형했다. 이 결과 대만의 마조는 보호신이며, 중국 대륙의 마조는 호국신으로 형상화되었다. 또한 대만의 정성공은 반청복명과 대만건설을 말한다면, 중국 대륙의 정성공은 대만수복을 강조하는 차이가 있었다. 양안의 마조·정성공 콘텐츠는 서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데, 여기서 중요한 변인(變因)은 중국 대륙이 마조·정성공 콘텐츠를 집중적으로 제작한 시기이다. 이를 기준으로 대만의 마조·정성공 콘텐츠의 성격이 변화했다. 1990년대까지 대만의 마조·정성공 콘텐츠는 평범한 사람들 곁에서 이들의 민원을 해결해주는 마조·정성공을 그려냈다. 2000년대 초반과 2010년대 초반, 중국 대륙에서는 대(對)대만 콘텐츠로 마조·정성공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중국 대륙은 2000년대 초반, 정성공을 통해 대만수복 의지를 강력하게 피력했고, 2010년대 초반, 마조를 통해 평화를 내세우면서도 자신의 영역에 들어오지 않을 경우 도와주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발신했다. 이후 대만의 콘텐츠 시장은 제작 능력을 상실하였고, 결국 역사극 및 대형 영상 미디어 콘텐츠 제작이 줄어들었다. 이에 대만에서는 중국의 거대 담론에 맞서 서브 컬처 영역에서 마조·정성공을 재구성하거나, 서사를 배제한 채 사료를 제시하는 등의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more

초록/요약

本文旨在比较中国大陆和台湾制作的妈祖·郑成功题材影视文化产品,以此来确认两岸关系对妈祖·郑成功影视文化产品造成的影响。为此,先总结妈祖·郑成功在两岸所具有的象征性,再分析在两岸大众文化领域中妈祖·郑成功反复被再现的形象,最后探究妈祖·郑成功被重塑的形象与两岸关系具有的关联性。 妈祖·郑成功原出生于中国大陆,现今是中国大陆和台湾共有的人物。妈祖既是女神也是海神,因被赋予了海上救难的职能成为了护国神,由此妈祖信仰在民间迅速传播,同时她作为保护神的职能也被扩大。郑成功是明末清初在台湾最早建立汉人政权的人物。 在中国大陆和台湾将妈祖和郑成功作为主人公制作的文化产品非常多。1949年以后,中国大陆和台湾制作的妈祖文化作品共有15部,郑成功文化作品共有8部。妈祖·郑成功被制作成了各种各样的文化产品,作品形式丰富如电影,电视剧,剧场版动画,电视版动画,纪录片,每一部作品都展示出了妈祖·郑成功不一样的人物形象。 两岸制作的妈祖·郑成功文化产品的共同点为在分阶段叙述他们的生涯过程中都添加了各自所需要的内容。不同之处在于主人公在经历苦难与逆境过程中的解决方式。台湾的文化作品主要为主人公自身通过树立目标来克服困难,中国大陆的文化作品主要是主人公通过获得他人的认可来解决外部引发的苦难。并且,在台湾文化作品中,围绕妈祖·郑成功并与其发生联系的周边人物主要以与主人公志同道合、相互合作攻克困难的形象出现。而在中国大陆的文化作品中,此类人物多为预知主人公未来并提示要实现的目标所服务,同时通过插入结缘情节来赋予主人公新的能力和属性。 两岸的妈祖·郑成功文化作品通常为了解决两岸的民族问题、台湾本省人与外省人间的矛盾、历史文化传承方式的差异、中国大陆和台湾的分离等问题,会采用增加或删减某些设定的方式来塑造人物形象。最终,妈祖和郑成功被塑造成了不同的形象。妈祖在台湾被刻画为保护神,在中国被刻画为护国神。郑成功在台湾被视为反清复明和建设台湾的人物,在中国大陆被强调为收复台湾的功臣。 两岸的妈祖·郑成功文化产品相互影响,而中国大陆集中制作妈祖·郑成功题材作品的时期对台湾此类作品的制作有着重要的影响。以此为基准台湾的妈祖·郑成功文化产品也随之发生变化。到1990年代为止,台湾的妈祖·郑成功文化作品刻画了在平凡人身边帮助他们解决民怨的妈祖·郑成功。 中国大陆为应对台湾,在2000年代初和2010年代初制作了妈祖·郑成功文化产品。2000年代初的作品通过郑成功这一人物形象表达了收复台湾的强烈意志,2010年代初的作品借用妈祖来提倡和平的同时,传递出台湾若不回归大陆,大陆将不给予帮助的信息。 彼时台湾的文化产品市场丧失了制作能力,导致历史剧和大型影视文化产品的制作不断减少。对此,台湾通过在次文化领域中重新塑造妈祖·郑成功的形象,或是不参照叙事内容,用揭示史料等方式来应对中国的巨大舆论。

more

목차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1
2.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4
1) 연구 대상 4
(1) 마조 콘텐츠 9
(2) 정성공 콘텐츠 10
2) 연구 방법 10
3. 선행 연구 검토 12

II. 양안 관계와 마조·정성공의 의미화 21
1. 양안 관계의 맥락에서 본 마조·정성공 21
2. 마조·정성공의 의미화 24
1) 마조의 의미화 과정 24
2) 정성공의 의미화 과정 37

III. 마조·정성공 콘텐츠의 다변화 양상과 그 의미 46
1. 마조 콘텐츠의 다변화 양상과 그 의미 46
1) 마조 콘텐츠의 변이 지점과 다변화 양상 48
(1) 신격 유래 방식의 차이 49
(2) 신격을 얻기 위한 수행 64
(3) 주변 인물과의 관계와 역할 75
2) 양안에서 상이한 성격의 신으로 형상화 된 마조 91
(1) 양안에서 공유된 직능: 해신(海神) 91
(2) 대만: 개인을 돕는 보호신(保護神) 95
(3) 중국: 국가와 민족을 지키는 호국신(護國神) 102
2. 정성공 콘텐츠의 다변화 양상과 그 의미 107
1) 정성공 콘텐츠의 변이 지점과 다변화 양상 108
(1) 생애의 분절적 재현 108
(2) 서사적 목표의 제시 112
(3) 주변 인물과의 관계와 역할 124
2) 양안에서 상이한 역사적 성취로 기억되는 정성공 142
(1) 양안에서 공유된 행적: 반청복명(反清復明) 142
(2) 대만: 대만을 건설하는 국성야(國姓爺) 149
(3) 중국: 대만을 수복한 민족의 영웅 158
IV. 마조·정성공 콘텐츠의 변모와 그 배경 175
1. 양안 마조·정성공 콘텐츠의 변모 175
2. 양안 관계의 변화에 따른 마조·정성공 콘텐츠의 변천 180
1) 20세기 대만의 마조·정성공 콘텐츠의 특징 180
2) 중국의 대(對)대만 문화전략으로서의 마조·정성공 콘텐츠 183
3) 중국에 맞서는 대만의 대응과 그 의미 190
V. 결론 200
 참고문헌 204
【 Abstract 】 212
【 中文摘要 】 21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