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유창함에 관한 연구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流暢さに関する研究
- 주제(키워드) 일본어교육 , 평가 , 일본어 모어화자 , 유창함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조영남
- 발행년도 2019
- 학위수여년월 2019. 8
- 유형 Text
- 학위구분 석사
- 학과 교육대학원 일어교육전공
- 원문페이지 98 p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orea/000000085378
- UCI I804:11009-000000085378
- DOI 10.23186/korea.000000085378.11009.0000938
- 본문언어 한국어
- 제출원본 000045996295
초록/요약
韓国人学習者の日本語を評価する上で最も信頼度が下がってしまうのが発話に関する評価である。特に談話の流暢さという概念はその定義も曖昧で、評価者の恣意性によるところが大きいため、客観的に評価しにくい。そこで、本研究では日本語教師ではない日本語母語話者の協力のもと学習者の談話を分析し、流暢だと感じられる談話にはどのような特徴があるのかを明らかにしようとした。 研究方法としては、8人の韓国人学習者の談話を録音したものを日本語母語話者20人に聞かせ、日本語母語話者が評価した「流暢さ」を「主観点評価」と称してデータを集計した。一方で、学習者の談話を分析し、数値化しうる要素を「客観的評価」と称して学習者ごとにその数値を可能な限り算出した。その後、「主観的評価」と「客観的評価」に相関関係があるのか量的に分析した。また、数値化できない要素については各学習者の談話を質的に分析した。 その結果、特に時間的な要素である「談話の速度」と構文・語彙に関わる要素である「語彙的複雑さ」を融合させ、短い時間内にどれだけ多様な単語を使用したかを表す「発話時間当たりの語彙的複雑さ」という指標で算出した「客観的評価」が「主観的評価」である「流暢さ」と最も相関関係が強く現れ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また、質的な分析を通して、流暢な学習者の特徴と学習者の流暢さを左右する要因も数例見いだすことができた。
more목차
1. 서론 1
2. 선행연구 및 본 연구의 입장 2
2.1. 유창함의 정의 2
2.2. 교사가 아닌 일본어 모어화자가 하는 평가에 관한 연구 3
2.3. 유창함에 관한 연구 4
2.4. 본 연구의 입장 6
3. 연구방법 8
3.1. 연구절차 8
3.2. 연구 대상 8
3.2.1. 발화형식과 학습자 8
3.2.2. 대화 주제와 내용 10
3.3. 분석방법 11
3.3.1. 주관적인 평가 11
3.3.2. 객관적인 평가 12
3.3.3. 주관적인 평가와 객관적인 평가의 상관분석 15
4. 분석 및 고찰 16
4.1. 주관적인 평가 16
4.2. 객관적인 평가 18
4.2.1. 시간적인 요소 18
4.2.1.1. 발화시간 및 발화속도 18
4.2.1.2. 막힘 및 침묵 20
4.2.1.3. 무의미어(FILLER) 및 무의미한 반복 21
4.2.2.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요소 23
4.2.2.1. 맞장구 및 유사표현 24
4.2.2.2. 생략 및 끼어들기 25
4.2.3. 구문·어휘에 관한 요소 26
4.2.3.1. 구문적 복잡함 27
4.2.3.2. 어휘적 복잡함 31
4.2.3.3. 접속표현 및 문말표현 34
4.2.4. 정확함에 관한 요소 37
4.3. 주관적인 평가와 객관적인 평가의 상관분석 40
4.3.1. 유창함과 시간적인 요소의 상관관계 40
4.3.2. 유창함과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요소의 상관관계 44
4.3.3. 유창함과 구문·어휘에 관한 요소의 상관관계 46
4.3.4. 어휘적 복잡함과 시간적인 요소를 융합한 지표 55
4.4. 각 학습자의 담화 특징 58
4.4.1. 정확함과 유창함 둘 다 높은 학습자군 59
4.4.2. 정확함과 비교하여 유창함이 높은 학습자군 61
4.4.3. 정확함과 비교하여 유창함이 낮은 학습자군 63
4.5. 고찰 정리 65
4.5.1. 주관적인 평가와 객관적인 평가의 상관관계 65
4.5.2. 높은 평가를 받은 학습자의 특징 66
5. 결론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