쾌적한 대기환경 조성을 위한 미세먼지(PM10)농도와 도시공간특성 간 관계분석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Characteristics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Fine-particle(PM10) for creating Pleasant Air-Environment
- 주제(키워드) 도시 미세먼지 , 근린생활권 , 토지이용 , 공간구조 , 다중회귀분석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김세용
- 발행년도 2019
- 학위수여년월 2019. 8
- 유형 Text
- 학위구분 석사
- 학과 대학원 건축학과
- 세부전공 도시계획 및 도시설계
- 원문페이지 71 p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orea/000000084644
- UCI I804:11009-000000084644
- DOI 10.23186/korea.000000084644.11009.0000925
- 본문언어 한국어
- 제출원본 000045999431
초록/요약
도시민의 삶과 직접적 관계를 갖는 대기환경 문제는 도시계획의 궁극적 목표인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특히 도시화 및 도시민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안전하고 쾌적한 대기환경에 대한 요구수준이 높아지는데 반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도시 미세먼지 농도는 심각한 불안요소가 되어 범정부적 해결과제로 부상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 근린생활권 단위 기준에서 도시 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 공간특성 요인들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미세먼지 관련 정부 및 지자체의 정책과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미세먼지농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토지이용특성 및 도시공간구조 등으로 구분되는 도시공간특성 변수를 선정하였다. 또한 미세먼지 농도의 변화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수도권 대기환경측정소에서 측정된 미세먼지농도 측정값을 계절과 시간대를 기준으로 구분하였으며 이를 종속변수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종속변수는 계절과 시간을 기준으로 연평균, 계절별 평균, 시간대별 평균 등으로 구분되어 총 9개 분석모형이 도출되었으며 각 변수들과 도시공간특성 변수와의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계절과 시간대에 따라 미세먼지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공간특성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미세먼지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공간요소는 계절과 시간대별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이에 계절과 시간대에 따라 구분되는 미세먼지 저감대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more목차
국문 초록 - v
제 1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1.1. 연구의 배경 - 1
1.1.2. 연구의 목적 - 2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3
1.2.1. 연구의 방법 - 3
1.2.2. 연구의 범위 - 5
1.2.2.1. 공간적 범위 - 5
1.2.2.2. 시간적 범위 - 6
제 2장 이론적 고찰 - 7
2.1. 도시미세먼지 개요 - 7
2.1.1. 도시미세먼지의 정의 및 현황 - 7
2.1.1.1. 미세먼지의 정의 및 심각성 - 7
2.1.1.2. 국내 미세먼지 구성 - 10
2.1.1.3. 대기오염측정망 현황 - 11
2.1.1.4. 미세먼지농도 현황 - 12
2.1.1.5. 수도권미세먼지농도 현황 - 17
2.1.2. 국내 미세먼지 대응정책 및 계획 - 23
2.1.3. 해외 미세먼지 대응정책 및 계획 - 28
2.1.3.1. 미국의 미세먼지 대응 - 29
2.1.3.2. 독일의 미세먼지 대응 - 31
2.1.3.3. 아일랜드의 미세먼지 대응 - 31
2.1.3.4. 해외 미세먼지 대응정책 및 계획 시사점 - 33
2.2. 선행연구 고찰 - 34
2.2.1. 관련 선행연구 고찰 - 34
2.2.2. 선행연구 시사점 - 35
제 3장 분석의 틀 - 36
3.1. 가설설정 - 36
3.2. 변수설정 - 37
3.2.1. 도시 미세먼지농도 변수설정 - 37
3.2.2. 도시공간특성 변수설정 - 38
3.2.2.1. 토지이용특성 - 38
3.2.2.2. 도시공간구조 - 40
3.2.2.3. 환경오염 유발시설 - 40
3.2.2.4. 기타 - 41
제 4장 분석결과 - 43
4.1. 기술통계 결과 - 43
4.2. 회귀분석 결과 - 45
4.2.1. 연평균 농도 회귀분석 결과 - 45
4.2.2. 계절별 농도 회귀분석 결과 - 47
4.2.2.1. 봄철(Model 2)기준 회귀분석 결과 - 47
4.2.2.2. 여름철(Model 3)기준 회귀분석 결과 - 47
4.2.2.3. 가을철(Model 4)기준 회귀분석 결과 - 49
4.2.2.4. 겨울철(Model 5)기준 회귀분석 결과 - 49
4.2.3. 시간대별 농도 회귀분석 결과 - 51
4.2.3.1. 23~05시(Model 6)기준 회귀분석 결과 - 51
4.2.3.2. 05~11시(Model 7)기준 회귀분석 결과 - 51
4.2.3.3. 11~17시(Model 8)기준 회귀분석 결과 - 53
4.2.3.4. 17~23시(Model 9)기준 회귀분석 결과 - 53
제 5장 결론 및 시사점 - 55
5.1. 회귀분석 결론 및 시사점 - 55
52. 결론 - 57
참고문헌 - 59
영문 초록 -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