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머에서 풋워크 동작 시 발 포지션에 따른 하지 근 활성도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ies Based on Foot Positions during Footwork Exercise on the Reformer
- 주제(키워드) 필라테스 , 근활성도 , 리포머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 지도교수 김창국
- 발행년도 2019
- 학위수여년월 2019. 2
- 유형 Text
- 학위구분 석사
- 학과 의용과학대학원 스포츠의학과
- 원문페이지 31 p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orea/000000082844
- UCI I804:11009-000000082844
- DOI 10.23186/korea.000000082844.11009.0000931
- 본문언어 한국어
- 제출원본 000045979081
초록/요약
본 연구는 리포머에서 풋워크 동작 시 발 포지션에 따른 하지 근육의 근 활성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40세의 성인 남성 8명, 여성 8명 총 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표면 근전도 장비를 이용하여 리포머에서 풋워크 동작 시 발 포지션(toes narrow, toes wide, arches narrow, arches wide, heels narrow, heels wide, V, wide)에 따른 하지 근육(전경골근, 내측광근, 외측광근, 대퇴직근, 내전근, 내측 비복근, 외측 비복근, 대퇴이두근, 반건양근, 대둔근, 중둔근)의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용 SPSS/PC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 하였으며, 자료처리는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검증될 경우 대비 검정 방법으로 사후분석(post-hoc test)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자료의 유의수준은 P<0.05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내측광근과 외측광근에서 가장 높은 근전도 값을 보였지만 발 포지션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그 외의 전경골근(p<0.01), 대퇴직근(p<0.01), 내전근(p<0.01), 비복근(p<0.01), 대퇴이두근(p<0.01), 반건양근(p<0.01), 대둔근(p<0.01), 중둔근(p<0.01)에서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리포머에서의 풋워크 운동은 하지 근육을 고르게 강화할 수 있으며, 단련 목적에 따라 다양한 포지션으로 수행이 가능하다고 보여진다.
more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의 가설 3
4.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1. 필라테스 4
2. 리포머(reformer) 4
3. 풋워크(footwork)동작 4
4. 하지근육 5
5. 근전도(electromyogram, EMG) 7
6. 하지 운동 시 발 포지션 변화에 따른 근전도 연구 7
Ⅲ. 연구방법 9
1. 연구대상 9
2. 연구설계 및 절차 9
3. 측정방법 10
4. 통계처리 및 자료분석 14
Ⅳ. 연구결과 15
Ⅴ. 논의 19
Ⅵ. 결론 및 제언 21
참고문헌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