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중.고 통합 학교시설 모형 연구

초록/요약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는 대부분 一자형 또는 ㄱ자, ㄴ자, ㄷ자 모양의 교사(校舍)와 운동장으로 이루어진 정형화된 모습을 하고 있다. 하창호(2010)는「학생 행동특성을 고려한 초등학교 공간 구성에 관한 조사연구」에서 초등학교 외부 공간 중 학생들의 생활이 이루어지는 장소를 크게 분류해 교사(校舍)를 중심으로 하는 공간(중정, 후정, 측정)과 운동장을 중심으로 하는 공간(운동장 내부, 운동장 주변)으로 나눌 수 있다고 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들의 운동장을 비롯한 학교시설의 열악성과 비효율성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분석하여, 현재의 정형화된 모습을 탈피하여 초·중·고등학교가 학교시설을 공유하는 통합된 새로운 공간 내에서 독립과 공존의 조화를 이루는 바람직한 미래학교의 틀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공간은 그 안에 존재하는 이들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며 특히, 학교라는 공간은 그 안의 주체가 되는 학생들에게 현재 어떤 인식을부여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어떻게 변화하여야 하는가를 연구하고자 했다. 현재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는 대부분 도서실, 음악실, 미술실, 과학실, 가사실과 실내체육실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이들 공간은 매우 형식적인 공간으로 조성되어 있고, 실제 그 교과가 추구하는 목적을 위해서는 턱없이 부족한 시설을 구비하고 있다. 도서관과 음악관, 미술관, 과학관, 체육관과 더불어 수영장은 학교와 동떨어져 학생들이 사용하기엔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 그리하여 학생들에게 이런 모든 시설을 언제든지 수월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교육공간의 변화를 모색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미래학교의 모델로서의「초·중·고 통합 학교시설 모형」을 제안하였다. 먼저, 학교시설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들을 찾아 검토·분석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본 연구에 맞는 자료가 미비하여 운동장, 학교숲, 도서관, 체육시설과 체육관, 음악관과 미술관, 과학관과 수영장 등 각각 개별적인 분야에 대하여 수집 검토·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우리나라의 유치원인 K학년부터 고3에 해당하는 12학년까지의 K-12학제인 미국, 캐나다, 영국 학교의 한국학교로 본 연구의 표준이 될 초·중·고를 하나의 학교 공간에서 운영하는 세 학교와 국내의 학교들을 조사하여 초·중·고를 하나의 공간에 두는 초·중·고 통합 학교시설 모형의 가능성을 찾았고, 마지막으로 한 지역에서 나란히 이웃한 공간 내에 있는 초·중·고가 각기 분리되어 있어 세 학교의 학교시설이 중복됨으로 인한 비효율적인 측면을 살펴보고 새로운 학교시설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교가 각기 다른 공간에 위치함으로써 분리되어 있을 수밖에 없는 도서실, 음악실, 미술실, 과학실, 체육실 등을 초·중·고를 하나의 공간에 둠으로써 서로 합쳐 그 기능적 측면뿐만 아니라 외형적, 심미적, 건축학적인 관점에서도 손색이 없을 제대로 된 도서관, 음악관, 미술관, 과학관, 체육관과 수영장을 갖추어 초·중·고등학교가 서로 공유할 수 있는 학교공간과 시설을 갖추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예를 들어, 초·중·고 각 학교마다 갖추어진 도서실 공간을 수직으로 올려 포갠다고 할 경우 새로운 도서관을 그려볼 수 있다. 음악실, 미술실, 과학실, 체육실 등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세 학교가 동일한 모습을 하고 있는 세 개의 운동장을 하나로 합하여 축구장, 야구장, 농구장, 배드민턴장 등의 보다 전문화 된 운동공간으로 세분화하여 설치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현재 학교 시설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각종 통계자료를 수집·분석하여「2015개정 학교시설」을 토대로 초·중·고 통합 학교시설 모형을 구체화하였다. 첫째, 초·중·고를 같은 영역에 각각의 강의동 교사(校舍)를 배치하고 둘째,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안하는 전문화 된 안전교육과 체육 및 인성교육을 위한 안전인성체육관을 두고 셋째, 미래의 제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여 컴퓨터를 통해 첨단 미디어정보를 검색하며 지식정보를 구할 수 있는 신 개념 도서관인 멀티미디어정보도서관과 넷째, 물리·화학·생물·지학 등의 기초과학에 국한하지 않고 로봇과 기술 및 음악, 미술까지 접목할 수 있는 예기술과학관, 그리고 다섯째, 신개념 놀이와 휴식의 공간을 갖춘 학교 숲을 조성하여 캠퍼스화하여 각 학교가 이들 시설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학적 구조배치를 제안하였다. 이는 학교건축비와 시설비의 절감효과와 학교를 캠퍼스화 하여 아이들의 교육공간을 보다 전문화하고 그 사용빈도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운동시설과 학교 숲을 통한 녹지공간 조성은 지방 자치단체에서 공설운동장 및 도시공원의 개념을 도입하여 축구장, 야구장, 풋살장, 족구장, 테니스장, 골프장등의 실외시설과 농구장, 배구장, 배드민턴 등의 실내체육시설 및 옥내외의 수영장을 갖추어 학생들과 지역주민이 언제나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학교시설 복합화 사업과 연계하여 공간의 효율성을 통한 학교시설에 대한 가치의 인식을 변화시키고 그 시설의 활용성과 학생들의 교육적 만족감을 극대화하는「초·중·고 통합 학교시설 모형」을 연구하였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제한점 3
3. 용어의 정의 4
Ⅱ. 선행연구 고찰과 연구방법 5
1. 선행연구의 고찰 5
2. 연구의 방법 9
가. 연구의 단계 9
나. 연구 대상의 선정 10
다. 자료분석 11
Ⅲ. 우리나라 학교 시설 및 공간 실태분석 14
1. 체육안전분야 16
2. 컴퓨터정보도서분야 21
3. 예술분야 22
4. 자연과학분야 23
5. 학교숲과 운동장 23
Ⅳ. 국내외 통합 학교시설 사례 25
1. 외국 초중고 통합 학교시설 사례 25
가. 브랭셤홀아시아 25
나. SJA Jeju(세인트존스베리아카데미 제주) 28
다. 노스런던칼리지에잇스쿨 31
라. 미국 명문 사립학교 33
2. 우리나라 초중고 통합 학교시설 사례 37
- v -
가. 동래 초여중여자고등학교 37
나. 살레시오 중고등학교 40
3. 동일 공간속의 초중고 분리형 학교 사례분석 43
가. 도서실 48
나. 미술실 52
다. 음악실 53
라. 과학실 55
마. 운동장 56
바. 체육관과 수영장 58
사. 학교숲 59
Ⅴ. 이상적 초중고 통합 학교시설 모형 60
1. 학교시설에 대한 가치 인식 변화 60
2. 학교시설과 공간의 활용성 61
3.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교육적 만족감 62
4. 이상적 초중고 통합 학교시설 모형 63
가. STEAM관(예기술과학관) 66
나. 멀티미디어정보도서관 67
다. 안전인성체육관 68
라. 운동장과 학교숲 69
마. 수영장 71
5. 학교교원간의 협력의 필요성 73
Ⅵ. 요약, 결론 및 제언 76
1. 요약 76
2. 결론 및 제언 78
참고문헌 8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