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체육거점학교 운영 실태에 따른 개선방안 연구

초록/요약

국 문 초 록 체육거점학교 운영 실태에 따른 개선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전공 김 관 기 본 연구는 체육거점학교의 운영 실태를 조사하여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와 설문지를 활용한 양적연구를 혼합하는 연구 방법을 사용했으며, 서울시에서 운영되고 있는 9개의 체육거점학교 협력교사 9명과의 심층 면담을 통해 체육거점학교의 장점, 운영하면서 느끼는 어려운 점, 개선되길 바라는 점에 대한 1차면담을 실시하였고 체육거점학교에 대한 만족도 설문지를 체육거점학교에 참여하는 학생 전체 368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complete enumeration)하여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52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1차면담에 대한 내용으로 후속 질문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 설문 결과에 대한 보충 설명을 위해 협력교사를 대상으로 한 2차면담을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체육거점학교의 장점은 첫째, 사교육을 대신하는 공교육 프로그램이라는 점. 둘째, 사교육 기관에서는 하기 힘든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공교육의 역할도 충실하게 수행하고 있다는 점. 셋째, 서울시 체육교사들의 협력으로 체육교육과 체육대학 입시에 발전이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협력교사들이 체육거점학교를 운영하면서 어려운 점은 첫째, 타교의 학생을 모집하는 것. 둘째, 학생들을 관리하는 것. 셋째, 강사를 채용하고 섭외하는 것. 넷째, 업무의 과중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의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 대부분의 문항에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체육거점학교의 방학 중 수업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체육거점학교 홍보와 인근의 체육거점학교를 쉽게 찾을 수 있었는지에 대한 문항의 만족도는 각각 78.4%와 75.6%로 집계되었지만, 체육거점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의 답변을 제외한 타교 학생들의 만족도는 각각 38.3%와 47.7%로 협력교사들이 느끼는 홍보와 학생 모집의 어려움을 뒷받침하였다. 건의사항으로 나온 10개의 답변 중 ‘방학 중 수업 개설’을 요구하는 의견 6건, ‘저녁식사 시간이 필요하다’는 의견 2건, ‘체육관이 너무 덥다’, ‘시설이 열악하다’는 의견이 각 1건씩으로 집계되었다. 그에 따른 체육거점학교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거점학교 홍보에 대한 개선방안은 거점학교를 운영하지 않는 학교에도 거점학교 담당자를 두어 관련 안내 공문을 전체 선생님들에게 공지하고 포스터를 게시하는 등의 책임을 부여하는 것이다. 둘째, 체육거점학교 학생 관리에 대한 개선방안은 출석일수가 부족하여 이수하지 못하는 학생과 적성에 맞지 않거나 진로가 변경되어서 체육거점학교를 그만두는 학생에 대한 조치에 차별을 두는 것과 체육거점학교 학생 모집이 완료된 후 신청자 전원을 대상으로 교육청 차원에서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하여 학생들의 마음가짐과 책임감에 무게를 더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강사 채용 및 섭외에 대한 개선방안은 채용된 강사들에 대한 교육 및 연수를 통해 체육거점학교에 대한 이해도와 책임감을 고취시키는 것과 체육거점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특강 및 프로그램의 강사 섭외의 문제는 9개 체육거점학교에서 진행된 프로그램과 강사의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으로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more

목차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5
3. 연구 문제 5
4.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1. 교육과정 거점학교 8
2. 교육과정 거점학교의 운영 10
1) 운영의 양적 확대 10
2) 운영 방식 11
3. 교육과정 거점학교 운영 초기의 효과 14
4. 체육거점학교의 운영 15

Ⅲ. 연구방법 19
1.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19
2. 조사도구 21
3. 조사 절차 23
4.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24
5. 자료 분석 26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27
1. 체육거점학교 운영의 장점 28
1) 사교육을 대신하는 공교육 프로그램 28
2) 학생들에게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30
3) 서울시 체육교사들의 협력 31
2. 체육거점학교 운영의 어려움 33
1) 타교학생 모집의 어려움 33
2) 학생 관리의 어려움 37
3) 강사 채용 및 섭외의 어려움 42
4) 업무의 과중 45
3. 학생들의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 46

Ⅴ. 개선방안 탐색 58
1. 체육거점학교 홍보에 대한 개선방안 58
2. 체육거점학교 학생 관리 문제에 대한 개선방안 59
3. 강사 채용 및 섭외의 문제에 대한 개선방안 60

Ⅵ. 제언 62

참고문헌 63
부록 6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