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의 유머사용이 창의적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지식공유와 심리적 안정의 매개효과
The Impact of Leader’s use of humor on Involvement in creative work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and Psychological safety
- 주제(키워드) 리더의 유머사용 , 지식공유 , 심리적 안정 , 창의적 직무몰입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 지도교수 최석봉
- 발행년도 2018
- 학위수여년월 2018. 2
- 학위구분 석사
- 학과 경영정보대학원 조직관리전공
- 원문페이지 55 p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orea/000000079952
- 본문언어 한국어
- 제출원본 000045932074
초록/요약
본 연구는 리더의 유머사용이 구성원의 창의적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지식공유와 심리적 안정의 역할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종업원 100명 이상 기업의 직원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의 유머사용은 창의적 직무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리더의 유머사용은 구성원의 지식공유와 심리적 안정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지식공유와 심리적 안정은 리더의 유머사용과 창의적 직무몰입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실증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가 미흡했던 리더의 유머사용과 창의적 직무몰입을 결과변수로 선택하여 검증함으로써 리더의 유머사용의 효과에 대한 연구영역을 확장하고 후속 연구를 이끌어내었다는 점, 또한 리더의 유머사용과 창의적 직무몰입에 대한 가능한 매개변수를 찾아 새로운 경로모델을 제시 및 검증함으로써 리더의 유머사용, 지식공유 및 심리적 안정, 창의적 직무몰입 간 직·간접적 영향관계를 보다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에 따른 실천적 방안으로는,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조직 구성원들의 창의적 직무몰입을 높이려면 적절한 리더의 유머사용을 기반으로 조직 구성원의 지식공유와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는 다양한 방안들을 마련하고 지원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more목차
- 목 차 -
제 1 장 서론 .......................................................... 1
제 2 장 이론적 배경과 연구가설
제1절 리더의 유머사용 ................................................ 5
제2절 창의적 직무몰입 ................................................ 6
제3절 리더의 유머사용과 창의적 직무몰입 .............................. 7
제4절 리더의 유머사용과 지식공유 ..................................... 8
제5절 리더의 유머사용과 심리적 안정 .................................. 10
제6절 지식공유의 매개효과 ............................................ 11
제7절 심리적 안정의 매개효과 ......................................... 12
제 3 장 연구방법
제1절 연구모형 ..................................................... 13
제2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 14
1. 리더의 유머사용 ............................................... 14
2. 지식공유 ...................................................... 14
3. 심리적 안정 ................................................... 15
4. 창의적 직무몰입 ............................................... 15
5. 설문지 구성 ................................................... 15
제3절 표본구성 및 조사방법 .......................................... 16
제 4 장 실증분석 및 연구결과
제1절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과 신뢰도 분석 .......................... 18
제2절 상관관계 분석 ................................................. 20
제3절 가설검증 및 연구모형 분석결과 ................................. 21
1.리더의 긍정적 유머사용에 대한 검증.............................. 21
1.1 직접효과 .................................................. 21
1.2 매개효과 .................................................. 24
2.리더의 부정적 유머사용에 대한 검증 ............................. 25
2.1 직접효과 .................................................. 25
2.2 매개효과 .................................................. 27
제 5 장 결론 및 토의
제1절 요약 및 논의 ................................................ 28
제2절 시사점 ....................................................... 30
1. 이론적 시사점 ................................................. 30
2. 실무적 시사점 ................................................. 31
제3절 연구의 한계와 과제 ........................................... 34
참고문헌 ............................................................ 36
설문지 .............................................................. 43
Abstract ...........................................................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