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SNS상에서의 일본어 사용 양상 연구 : 한일 양언어 간의 코드스위칭을 중심으로
- 주제(키워드) 일본어학습자 , 코드스위칭 , SNS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조영남
- 발행년도 2018
- 학위수여년월 2018. 2
- 학위구분 석사
- 학과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 원문페이지 108 p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orea/000000079407
- 본문언어 한국어
- 제출원본 000045931998
초록/요약
인터넷과 통신 기기의 발달이 학습자의 언어 사용 환경에 변화를 가지고 옴에 따라 인터넷 상에서 학습자가 학습 언어를 사용하는 모습도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일본어교육에서 일본어를 입력하는 행위에 대한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자가 인터넷 공간에서 일본어를 사용하는 모습을 빈번히 확인할 수 있으며, 교사는 이러한 실정을 파악하고 있지 못한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SNS게시글의 나타난 일본어 사용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일본어를 입력하는 행위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며, 일본어학습자의 교실 밖에서의 일본어 사용에 대한 교사의 이해를 높이는 계기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에서 일본어를 전공하는 한국인 일본어학습자 10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페이스북(Facebook)과 인스타그램(Instagram)에 지난 1년간 게시한 게시글에서의 일본어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게시글에서는 한국어를 기반으로 하는 문장에서 일본어로의 문장 간 코드스위칭, 문장 내 코드스위칭, 부가적 코드스위칭이 행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일본어가 기반이 된 문장에서는 한국어로의 코드스위칭은 찾아볼 수 없었다. 일본어학습자는 게시글 내의 특정 부분을 강조하거나 희석하기 위해서 일본어를 사용하거나, 일본어가 주는 주목성 및 표현의 간결성과 의미의 적절성에 의해 일본어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밖에도 게시글 내에서 문맥을 구분 짓기 위해서, 혹은 다른 학습자와의 유대감을 강화시키거나 특정 독자를 배제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일본어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각각의 게시글에 맞추어 표기 방법도 다르게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게시글 내의 문말 문체를 혼용하거나 변형하는 모습, 특정 내용에서 한국어보다 일본어를 선택하는 모습, 일본어를 이용하여 말장난을 하는 모습 등을 통하여 학습자가 SNS에서 일본어를 활발하고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일본어 입력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아울러 학습자가 SNS게시글에서 사용한 일본어 표현 중에는 교실 학습을 통하여 습득된 항목뿐 아니라 미디어를 통하여 학습자가 스스로 익힌 항목도 나타났는데, 미디어 등을 통하여 학습된 항목의 경우 실제 일본어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적절치 못한 사용을 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교사는 이러한 항목에 대한 피드백을 줄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학습자의 교실 밖의 언어 사용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more목차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선행연구 및 본 연구의 입장 3
2.1. 코드스위칭의 정의와 기능 3
2.2. 코드스위칭에 관한 선행연구 7
2.2.1. 텍스트에서의 코드스위칭 연구 7
2.2.2. 학습자의 코드스위칭 연구 9
2.2.3. 한국어와 일본어 간의 코드스위칭 연구 10
2.3. 본 연구의 입장 12
3. 연구방법 14
3.1. 본 연구에서의 코드스위칭의 정의 14
3.2. 분석 자료 14
3.3. 분석 대상 23
3.4. 분석 방법 28
4. 결과 및 고찰 33
4.1. 게시글에서의 일본어 사용 위치 33
4.1.1. 한국어 기반 문장 35
4.1.1.1. 문장 간 코드스위칭 35
4.1.1.2. 문장 내 코드스위칭 40
4.1.1.3. 부가적 코드스위칭 56
4.1.2. 일본어 게시글 57
4.1.3. 종합적 고찰 59
4.2. 일본어 사용에 나타난 특징 62
4.2.1. 문말 표현에 나타난 특징 62
4.2.1.1. 정중체와 보통체의 혼용 62
4.2.1.2. 문말 표현의 변형 64
4.2.2. 한일어 선택에 나타난 특징 69
4.2.2.1. 감사 및 사죄 표현에서의 한일어 선택 69
4.2.2.2. 감정에 따른 한일어 선택 72
4.2.3. 기타 특징 77
4.2.3.1. 외래어의 사용 77
4.2.3.2. 일본어를 활용한 언어유희 81
4.2.3.3. 인터넷 통신 언어의 사용 82
4.2.4. 종합적 고찰 85
5. 결론 및 향후 과제 90
<참고문헌> 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