쪼음입사기법(Cross-Hatch Inlaying Technique)의 기원 고찰
A study on the Origin of Cross-Hatch Inlaying Technique(Damascene)
- 주제(키워드) 입사(入絲) , 상감(象嵌) , 쪼음입사 , 끼움입사 , 포목상감(布木象嵌) , 이암(李巖) , 가응도(架鷹圖) , 원(元) , 명(明) , 몽골(Mongol) , 이슬람(Islam) , 이란(Iran) , 격자문(Cross-Hatch) , Damascene , 히고상감(肥後象嵌) , 교토상감(京象嵌)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方炳善
- 발행년도 2017
- 학위수여년월 2017. 8
- 학위구분 석사
- 학과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 세부전공 미술사학 전공
- 원문페이지 149 p
- 비고 천연색삽화 ; 26cm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orea/000000076960
- 본문언어 한국어
- 제출원본 000045915991
초록/요약
우리나라의 입사공예는 낙랑(樂浪, 108-313)에서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 조선을 거쳐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 중 하나인 끼움입사기법은 오랜 시간에 걸쳐 그 명맥을 유지해 왔으며, 각 시기별로 문양, 사용재료 등의 변화가 있었다. 조선시대 특히 15세기말-16세기경에 유입된 쪼음입사기법은 그동안 사용되어온 끼움입사기법의 범주에서 벗어난 획기적인 입사기법이었으며, 이 때 유입된 쪼음입사기법은 오늘날까지 입사기법의 주류로 자리 잡으며 다양한 기물을 장식하는데 사용되어왔다. 본 논문은 쪼음입사기법이 등장한 발생지와 발생 시기를 유추해보고 조선에 유입되기까지 어떠한 경로를 거쳐 왔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주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내용을 서술하기 위해서는 11세기 서남아시아 지역의 금속공예품부터 元, 明代의 입사공예품까지 살펴보는 과정이 필요하다. 11세기경부터 서남아시아 지역에서 금속기의 바탕문양으로 시문된 격자문은 元(1271-1368)에서 쪼음입사기법이 등장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사용되던 문양으로 주문양을 돋보이게 할 용도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양상과 맞물려 12-13세기에 탁입사기법(拓入絲技法)이 등장하였고 탁입사기법의 입사원리와 격자문의 문양양식이 결합된 쪼음입사기법이 13세기후반 경 元에서 가장 먼저 등장하게 된다. 이렇듯 13세기후반에 등장한 쪼음입사기법은 明代까지 이어졌고 뿐만 아니라 15세기후반-16세기초반 경에는 조선에까지 기법이 전해지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 사료, 현전유물의 부재로 인한 부족함은 기법을 직접 재현하는 과정을 통해 기법간의 상호 연관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중앙유라시아, 중국, 일본을 현장 답사하여 관련 유물들을 실견하고 각 국의 기법 재현 과정을 직접 살펴보는 과정을 통해 연구의 오류를 최소화 하고자 하였다. 쪼음입사기법은 편년작이 극히 드물며 문헌상의 기록도 거의 남아있지 않아,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편이다. 특히 기법의 기원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본 논문을 통해 쪼음입사기법의 기원에 대해 알아보고, 넓은 지역에 걸쳐 사용된 쪼음입사기법 중 조선시대만의 특징에 대해 더욱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more초록/요약
Korea’s inlaying craft is assumed to have started during Nakrang(樂浪) Period(A.D. 108–313). It has developed through the Three Kingdoms of Korea(三國時代), unified Silla(統一新羅), Goryeo(高麗), Joseon(朝鮮) era, and is still used until today. Silver-inlaid bronze craft, one of the inlaying crafts handed down from our predecessors, has been maintaining its’tradition for a long time, although there has been a slight difference on the patterns or materials used during different eras respectively. Cross-hatch inlaying technique (Damascening), introduced around late 15th– 16th century during Joseon Dynasty, was something phenomenal mainly because it did not derive from silver-inlaid bronze craft. Cross-hatch inlaying technique became one of the mainstreams of inlaying crafts, and has been used to decorate many objects. This thesis aims to find the origin of cross-hatch inlaid technique, along with the path of how the cross-hatch inlaid technique ended up being absorbed in Korea. It is necessary to spotlight metal crafts from 11th century in Southwest Asia and inlaying crafts from Yuan(元) and Ming(明) dynasty in China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Cross-Hatch pattern, which was used for the background of metals from 11th century in Southwest Asia, was still used to highlight main patterns, even after cross-hatch inlaying technique was introduced during Yuan dynasty(A.D. 1271–1368). With this aspect, ‘needlework’ inlaid technique (it’s named after ‘needlework’ because of its appearance on the metal) was introduced 12th century. Adapting both needlework inlaid technique and cross-hatch pattern decoration, cross-hatch inlaying technique was first introduced during Yuan dynasty, around late 13th century. Not only cross-hatch inlaying technique was succeeded during Ming dynasty, but also it was introduced in Joseon around late 15th–early 16th century. This thesis aims to find possible interaction among the techniques through reenacting them. Also, by visiting sites in Eurasia, China, and Japan to observe related craftworks and process of techniques in each country, this thesis tries to minimize errors within the study. Cross-hatch inlaying technique is not studied enough because of limitation of craftworks and literature. Especially for the origin of the technique, it has not been studied at all. By going through the origin of cross-hatch inlaying technique, I hope that this thesis will result in bringing thorough studies on cross-hatch inlaying technique during Joseon dynasty.
more목차
Ⅰ. 머리말 1
Ⅱ. 입사의 기원과 기법 7
1. 입사의 개념 7
2. 입사의 기원 8
3. 입사 기법에 따른 분류 18
1) 끼움입사기법 18
2) 탁입사기법(拓入絲技法) 20
3) 쪼음입사기법 23
Ⅲ. 11-15세기 서남아시아 금속공예품 25
1. 11-15세기 서남아시아 사회와 예술 25
1) 중세 서남아시아 사회와 동서교류 25
2) 11-15세기 서남아시아의 금속공예 28
2. 11-15세기 서남아시아 금속공예품 표면장식문양 30
1) 제작 과정 30
2) 격자문의 시기별 시문 양상 32
3. 12-15세기 서남아시아지역의 입사기법 38
1) 탁입사기법(拓入絲技法) 제작 과정 38
2) 탁입사기법의 기원과 전개 41
3) 서남아시아의 탁입사공예품 45
Ⅳ. 元代 쪼음입사기법 51
1. 元代 쪼음입사공예품 제작과정 51
2. 쪼음입사기법의 등장배경과 의의 53
3. 元代 쪼음입사공예품 55
V. 明代ㆍ조선시대 쪼음입사기법과 전파 60
1. 明代 쪼음입사기법 60
1) 제작과정 60
2) 明代 쪼음입사공예품 63
2. 조선시대 쪼음입사기법 75
1) 明代 쪼음입사기법의 조선유입과 생산체제 75
2) 조선시대 쪼음입사기법과 재료 85
3) 조선시대 쪼음입사공예품 86
3. 일본 91
1) 일본의 쪼음입사기법 유입시기와 조선과의 차이점 92
2) 교토상감(京象嵌) 93
3) 히고[肥後]상감 95
Ⅶ. 맺음말 102
參考文獻 105
表目錄 113
圖版目錄 114
揷圖目錄 119
圖版 124
ABSTRACT 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