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고급일본어학습자의 작문에서 관찰되는 결속성에 관한 연구 : 취업용 자기소개서의 분석을 중심으로
- 주제(키워드) 한국인고급일본어학습자 , 결속성 , 작문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채성식
- 발행년도 2017
- 학위수여년월 2017. 8
- 학위구분 석사
- 학과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 세부전공 일본어학·교육전공
- 원문페이지 103 p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orea/000000076376
- 본문언어 한국어
- 제출원본 000045915925
초록/요약
본고는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고급일본어학습자가 작성한 일본어 작문의 어색한 원인을 '결속성'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결속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지시, 접속표현, 치환, 어휘적 결속성 그리고 독자적 관점에서 모점을 추가하는 등, 총 5가지의 요소로 한정하였다. 분석에 앞서 한국어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우선 한국어와 일본어의 결속성 요소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선행연구를 토대로 정리하였다. 분석 및 고찰은 고급일본어학습자가 작성한 취업용 자기소개서를 자료로, 한국인 학습자에게 일본어를 가르친 경험이 있는 모어화자 3명이 결속성 요소의 문제가 있다고 판단한 부분을 바탕으로 실시하였다. 이때 결속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해 국제적인 어휘나 표현 등을 지정하여 자세한 조건을 제시하였으며 모어화자 3명 중 2명 이상이 체크를 한 내용을 분석 결과에 포함 시켰다. 그 결과 모점의 요소가 21건으로 가장 많이 확인되었으며, 접속표현이 11건, 치환이 9건, 지시 6건, 어휘적 결속성 6건의 순으로 나타났다. 모점의 요소는 중지형(中止形)과 접속표현 뒤에 들어가는 모점이 누락된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는 거의 모든 학습자에게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한국인 학습자의 특징으로 일반화가 가능하다. 특히 접속표현의 경우 오류가 많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한국어가 일본어에 비해 접속표현이 빈약하다는 특징이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되며 학습자가 일본어 접속표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 못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고찰을 통해 한국인 고급일본어학습자의 작문에 보이는 어색함은 모어의 영향이 크다는 점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한국 내의 일본어 작문 교육 환경이 열악하다는 사실을 반영하고 있다. 본고를 통해 한국에서의 일본어 작문 교육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재차 강조되었다고 판단된다.
more목차
Ⅰ. 서론 1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1.2. 선행연구 개관 2
1.2.1. 결속성 관련 연구 3
1.2.2. 일본어학습자 작문의 결속성 관련 연구 4
1.2.3. 한국어가 모어인 일본어학습자 작문의 결속성 관련 연구 6
1.3. 본고의 입장 8
1.3.1. 결속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 9
1.3.2. 본고의 접근 방법 11
Ⅱ. 이론적 배경 13
2.1. 지시 14
2.1.1. 일본어의 지시 15
2.1.2. 한국어의 지시 17
2.1.3. 양국 지시의 공통점 및 차이점 20
2.2. 생략・치환 21
2.2.1. 일본어의 생략・치환 22
2.2.2. 한국어의 생략・치환 24
2.2.3. 양국 생략・치환의 공통점 및 차이점 25
2.3. 어휘적 결속성 27
2.3.1. 일본어의 어휘적 결속성 28
2.3.2. 한국어의 어휘적 결속성 29
2.3.3. 양국 어휘적 결속성의 공통점 및 차이점 30
2.4. 접속표현 31
2.4.1. 일본어의 접속표현 31
2.4.2. 한국어의 접속표현 35
2.4.3. 양국 접속표현의 공통점 및 차이점 40
2.5. 모점(讀点) 42
2.5.1. 일본어의 모점 43
2.5.2. 한국어의 모점 45
2.5.3. 양국 모점의 공통점 및 차이점 46
Ⅲ. 분석 및 고찰 47
3.1. 분석대상 48
3.2. 분석방법 50
3.2.1. 지시 51
3.2.2. 생략・치환 51
3.2.3. 어휘적 결속성 51
3.2.4. 접속표현 52
3.2.5. 모점 53
3.3. 분석 결과 및 고찰 55
3.3.1 모점 56
3.3.2. 접속표현 61
3.3.3. 치환 65
3.3.4. 지시 68
3.3.5. 어휘적 결속성 71
3.3.6. 결과에서 제안하는 학습자 결속성 교육 73
Ⅳ. 결론 81
< 참고문헌 > 85
< 부록 >한국인 고급일본어학습자의 작문 전문(全文)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