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노동자 가정 청소년의 이주경험과 민족정체성에 형성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몽골 이주노동자 가정을 중심으로 : 몽골 이주노동자 가정을 중심으로
- 주제(키워드) 몽골 이주노동자 , 청소년 , 민족정체성 형성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김경근
- 발행년도 2016
- 학위수여년월 2016. 8
- 학위구분 석사
- 학과 대학원 교육학과
- 세부전공 교육사회학
- 원문페이지 106 p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orea/000000069331
- 본문언어 한국어
- 제출원본 000045880642
초록/요약
본 연구는 몽골 이주 노동자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한국에서 성장하면서 겪었던 경험들을 중심으로 이들이 민족 정체성의 형성하는 과정에 대해 밝히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몽골 이주노동자 가정 출신 이주 청소년 6명을 연구 참여로 설정하여 심층면담을 통하여 질적 연구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몽골 이주 노동자 청소년들의 경우 가정, 학교, 일상에서 다다른 경험을 갖고 자라 오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이주 삶, 생활 세계는 그들의 사회적 지위나, 민족적 특성 때문에 공통적인 경험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과 면담 결과를 분석한 후 5개의 민족정체성 관련된 이주 경험의 범주가 설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하위 주제들로 이주 배경 청소년들에게 나타나는 유의미한 경험들에 대한 진술들로 이뤄졌다. 이러한 민족정체성 경험들을 통해서 연구 참여자 청소년들이 직접 진술하는 민족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몽골 출신 이주노동자 가정 청소년들이 처하고 있는 신분적 불안전 속에서 민족정체성을 형성하는데 방해되는 어려움과, 제도적인 제약들을 토대로 교육적, 제도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more목차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4
3. 연구 범위 및 용어 정리 5
Ⅱ. 이론적 배경 7
1. 이론적 배경 7
가. Erikson의 정체성이론 및 Marcia의 정체성 지위 이론 7나. 민족정체성(Ethnic identity) 형성 맥락적 요인 9
다. 민족정체성 형성 모델 11
2. 선행 연구 14
가. 몽골 이주노동자 가정의 유입배경 및 실태 14
나. 몽골 이주노동자 가정 청소년의 실태 및 특성 15
다. 민족정체성 형성에 대한 선행 연구 20
Ⅲ. 연구방법 24
1. 질적 연구 24
가. 현상학적 접근 24
나. Colazzi 분석 방법론 25
2. 질적 연구 설계 26
가. 예비연구 및 연구자의 준비 26
나. 연구 참여자 선정 및 윤리적 고려 29
다. 자료 수집 과정 31
라. 자료 분석 방법 32
마. 연구의 엄격성 보장 33
Ⅳ. 연구결과 35
1. 연구 참여자의 특성 35
2. 연구 참여자의 이주경험과 민족정체성 형성 경험에 대한 범주 40
가. 이주노동자 동반 가족 42
나. 학교교육 경험 51
다. 일상 경험 61
라. 본국과 관련된 태도 69
마. 귀국에 대한 태도 76
3. 이주노동자 가정 청소년의 이주경험과 민족정체성 형성과정에 대한 총체적기술 81
가. 민족정체성 부재 시기 81
나. 민족정체성 탐구 시기 83
다. 민족정체성 성취 시기 84
Ⅴ. 논의 및 제언 87
1. 논의 87
2. 제언 90
VI. 결론 92
1. 요약 92
2. 연구의 한계점 94
[참고문헌]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