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급 일본어 학습자의 학습 동기 및 동기 상실 요인 : 한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 주제(키워드) 동기 , 동기 상실 , 일본어 , 일어 , 탈동기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조영남
- 발행년도 2016
- 학위수여년월 2016. 2
- 학위구분 석사
- 학과 교육대학원 일어교육전공
- 원문페이지 90 p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orea/000000066113
- 본문언어 한국어
- 제출원본 000045866266
초록/요약
본 연구는 일본어 학습 동기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는 기존의 연구에서 나아가 동기 상실요인을 밝힘으로서 현재 한국의 일본어 교육을 진단하고, 앞으로의 교육의 방향에 대해 모색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를 위해 조사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일본어 학습 동기 조사를 위한 문항 20개와 동기 상실 조사를 위한 문항 40개로 구성된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급 일본어 학습자 288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중 무작위 반응자를 제외한 264명의 응답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서는 전체응답자에 대한 결과 뿐 아니라, 일반고, 특목고, 특성화고 및 상위권과 하위권으로 집단을 나누어 비교하여 보다 다각도로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초급 일본어 학습의 주요 동기 요인은 내재적 동기와 제2언어 이상 자아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학교 종류나 성취도에 상관없이 일관되었다. 한편 학습 동기의 정도는 상위권이 하위권에 비해 높게 나타나면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동기 상실 요인 분석에서는 일본어에 대한 부정적 태도와 자신감 부족, 부적절한 학습 환경 요인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실 밖에서 일본어로 말할 기회가 없거나 일본어 문자, 문법의 어려움과 관련한 항목에서 평균이 높게 나타난 반면, 일본의 자연 재해나 한·일간의 관계는 평균이 낮았다. 학교 종류별 동기 상실 요인 비교에서는 자신감 요인의 경우 외국어고 가, 일본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특성화 집단이 높은 평균을 보였다. 또한 성취도에 따른 비교에서는 전체적으로 하위권의 동기 상실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연구를 통해 한국 상황에서의 초급 일본어 학습 동기와 동기 상실 요인은 기존의 타 외국어에서 실시한 연구나 기존의 교사의 입장에서 예측해오던 것과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교수법 연구에 참고한다면, 보다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more목차
1.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2. 연구과제 2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3
2.1. 제2언어 학습 동기 3
2.1.1. 사회교육모형 3
2.1.2. 자기결정 이론 5
2.1.3. 제2언어 동기적 자아 체계 8
2.2. 제2언어 학습 동기 상실 9
2.2.1. 학습 동기 상실 9
2.2.2. 제2언어 학습 동기 상실 요인 10
2.3. 한국에서의 제2언어 학습 동기 및 동기 상실에 관한 연구 12
3. 연구방법 15
3.1. 연구대상 15
3.2. 연구도구 16
3.2.1. 학습자 기본 정보에 관한 설문 16
3.2.2. 초급 일본어 학습 동기 상실에 관한 설문 17
3.2.3. 초급 일본어 학습 동기에 관한 설문 20
3.3. 연구절차 21
3.4. 분석방법 22
3.5.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 23
4. 연구결과 및 고찰 25
4.1. 초급 일본어 학습 동기 요인 25
4.1.1. 전체 응답자 일본어 학습 동기 요인 25
4.1.2. 학교 종류별 일본어 학습 동기 요인 29
4.1.3. 성취도별 일본어 학습 동기 요인 36
4.2. 초급 일본어 학습 동기 상실 요인 42
4.2.1. 전체 응답자 일본어 학습 동기 상실 요인 42
4.2.2. 학교 종류별 일본어 학습 동기 상실 요인 46
4.2.3. 성취도별 일본어 학습 동기 상실 요인 57
4.3. 종합적 고찰 68
4.3.1. 초급 일본어 학습 동기 요인 68
4.3.2. 초급 일본어 학습 동기 상실 요인 69
5. 결론 및 향후 과제 73
참고문헌 75
부록 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