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쯔쯔가무시증의 공간 분석 모형 비교 연구

초록/요약

쯔쯔가무시증은 국내에서 가을철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급성열성질환이다.최근 정부의 방역 및 보건 정책에도 불구하고 쯔쯔가무시증 발병 환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쯔쯔가무시증 발병에 적합한 회귀모형 선정 및 공간 역학적 요인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방역사업 및 대상지 선정의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고자 한다. 쯔쯔가무시증 연구에 적합한 모형을 선정하기 위해 일반회귀모형, 공간오차모형, 아이겐벡터 공간필터링모형을 비교하였다. 세 모형의 잔차의 정규성, 등분산성,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비교한 결과 아이겐벡터 공간필터링모형이 회귀분석의 기본가정에 가장 부합하는 모형으로 나타났다. 쯔쯔가무시증 발병 요인 분석 결과 여름기온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을기온, 가을강수량, 가을습도, 가을 정규식생지수, 농경작인구비율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반선형회귀모형 회귀계수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결과 논경작인구비율이 결정계수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를 통해 자연환경요인보다 인간의 활동이 쯔쯔가무시증 발병 빈도를 증가시키는데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평가하였다.

more

목차

Ⅰ. 서론...................................................................................................1
1. 연구 배경 및 목적.................................................................1
2. 문헌 연구..................................................................................7
Ⅱ. 연구 방법........................................................................................10
1. 공간적 자기상관....................................................................10
2. 모형 비교..................................................................................13
1) 공간오차모형....................................................................13
2) 아이겐벡터 공간필터링 모형.....................................16
3 변수 가공...................................................................................19
1) 변수 변환...........................................................................19
2) 연령 성별 표준화 발병률............................................19
3) 정규 식생 지수................................................................20
Ⅲ. 연구지역 및 데이터....................................................................25
1. 종속변수...................................................................................27
2. 독립변수...................................................................................28
1) 기후 데이터......................................................................28
2) 정규식생지수...................................................................33
3) 인문사회변수...................................................................35
Ⅳ. 연구 결과........................................................................................37
1. 탐색적 공간 데이터 분석...................................................37
1) 쯔쯔가무시증의 인구환경적 특성............................37
2) 쯔쯔가무시증의 표준화 발병률.................................39
3) 쯔쯔가무시증 발병률의 국지적 자기상관.............44
2. 통계분석.....................................................................................47
1) 상관 분석............................................................................47
2) 모형 적합성 분석.............................................................51
3) 모형 잔차 분석 .................................................................54
4) 변수 해석............................................................................58
(1) 여름기온 및 여름강수............................................58
(2) 가을기온, 가을강수, 가을습도............................59
(3) 가을 정규식생지수..................................................61
(4) 인문사회변수(논경작인구비율, 경지비율).....62
5) 상대적 중요도...................................................................63
Ⅴ. 결론 및 논의...................................................................................65
참고문헌..................................................................................................6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