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예술〈산불〉의 비극성 연구
- 주제(키워드) 차범석 , <산불> , 비극성 , 비극적 특성 , 이데올로기 , 성적 욕망 , 공연예술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유영대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8
- 학위구분 석사
- 학과 대학원 응용언어문화학협동과정
- 세부전공 문화콘텐츠학 전공
- 원문페이지 142 p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orea/000000060315
- 본문언어 한국어
- 제출원본 000045841623
초록/요약
지금까지 대부분의 <산불> 연구는 사실주의와 성적 욕망이라는 두 개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진행되어왔다. 이에 비해 <산불>의 배경이 되는 한국전쟁을 관통하는 주제 즉, 이데올로기의 대립과 전쟁으로 인해 드러나는 비극적 특성에 대한 논의는 소수에 불과했으며 진행된 연구 또한 소극적인 형태를 보인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서양 비극의 개념을 토대로 <산불>에서의 비극의 개념과 정의를 규명하기보다는 희곡 「산불」의 작품 분석을 통해 비극적 특성을 연구하고 이를 기초로 삼아 공연예술 <산불>에 나타난 비극적 특성과 그 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범위는 차범석 희곡 「산불」 대본과 연극?창극?뮤지컬로 공연된 각각의 작품들로 한정짓고자 한다. 우선 가장 원형이 되는 희곡을 면밀히 분석하여 비극적 특성의 요소로 선별한 이데올로기와 성적 욕망이라는 비극적 특성이 「산불」의 작품 내부에서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살펴보고 또한 「산불」의 분석을 기초로 삼아 공연예술에서 실연된 <산불>의 작품들과 비교분석하여 무대에서 표현되는 비극적 특성과 그 효과를 논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원작자인 차범석에 대한 소개와 그의 작품 세계를 소개하여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도왔으며, Ⅲ장에서는 희곡 <산불>을 배경?무대?인물 구조를 각각 분석하여 작품에 내포된 비극적 특성이 ①이데올로기, ②성적 욕망이라는 것을 도출하였다. 이 두 가지 요소는 불이라는 매개로 인해 <산불>의 비극성을 완성한다. Ⅳ장에서는 공연예술 <산불>이 연극?창극?뮤지컬로 각각 공연되었다는 것에 주목하여 각 장르별로 비교분석하여 목차 Ⅲ에서 도출한 원작 ??산불??의 비극적 특성과 비교분석하여 무대에서는 어떻게 표현되었으며, 그 효과는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이 논문에서는 <산불>의 비극적 특성을 도출하고 각각의 작품에서 비극적 특성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지를 알아보았다. 따라서 <산불>의 가장 중요한 핵심을 비극성을 구성하는 <산불>만의 비극적 특성이라 보며, <산불>의 각색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바로 비극성을 구성하는 비극적 특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산불>1962년 명동 국립극장에서 초연된 이후 2011년까지 꾸준히 공연되었으며, 장르의 벽을 넘어 창극, 뮤지컬, 오페라로도 공연되었고, 세 편의 영화로도 제작된 바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산불>의 다양한 관점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라고 아울러 <산불> 콘텐츠가 더욱 발전되기 위한 밑거름이 되는데 일조하길 기대하며 본 연구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more목차
I. 서론 1
1. 연구목적 1
2. 연구사 검토 3
3. 연구방법 11
Ⅱ. 차범석의 생애 및 작품 활동 13
1. 생애 13
2. 작품 활동 19
Ⅲ. 희곡 「산불」의 작품 분석 26
1. 배경분석 28
1) 시대 및 계절적 배경 28
2) 지리적 위치 및 공간적 배경 31
2. 무대분석 33
3. 인물분석 39
1) 양씨 vs 최씨 40
2) 점례 vs 사월 45
4. 비극적 특성 51
1) 이데올로기 52
2) 성적 욕망 62
Ⅳ. 공연예술 <산불>의 비극적 특성 79
1. <산불> 공연사 80
2. 공연예술 <산불>의 비극적 특성 비교분석 84
1) 연극 <산불> 84
2) 창극 <산불> 94
3) 뮤지컬 <댄싱 섀도우> 109
3. 공연예술 <산불>의 비극적 특성과 그 효과 122
V. 결론 126
참고문헌 129
Abstract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