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군함정의 협동교전능력 구축을 위한 통신프레임 연구
- 주제(키워드) 협동교전능력 , CEC , 전술데이터링크 , TDL , 대함유도탄 , 통신프레임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대학원
- 지도교수 김효곤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8
- 학위구분 석사
- 학과 컴퓨터정보통신대학원 컴퓨터·정보통신공학과
- 원문페이지 57 p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orea/000000060216
- 본문언어 한국어
- 제출원본 000045841372
초록/요약
현대전에서 C4ISR (Command, Control, Communication, Computer,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의 중요성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전 세계 대다수의 국가가 현대전에서의 승리를 보장하기 위해 C4ISR 및 PGM (Precision Guided Munitions/Missile) 능력 보유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중이다. C4ISR 및 PGM 능력 향상은 아군의 탐지 및 공격 능력을 가져오지만, 상대적으로 무기체계 위협에 대한 더욱 짧은 대응 시간도 요구하고 있다. 미 해군에서는 전투체계 개발, 전술데이터링크를 개발하여 운용중이다. 하지만 전투단의 효율적인 대공표적 대응에 제한사항이 있었다. 제한사항 극복을 위해 각 함정의 미들웨어 플랫폼에 대한 성능개선과 미들웨어 단에서의 협동교전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체계 구축을 통해 '협동교전능력(CEC : Cooperative Engagement Capability)'이라는 개념을 발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한국해군에서도 협동교전능력 구축이 필요하며, 협동교전능력 구축에 필요한 요소 중 체계간 통신할 수 있는 통신 프레임의 연구가 필요하다. 한반도 전장 환경을 고려할시 한국해군함정의 경우 한반도 전장 환경 고려 시 위협 대처에 가장 짧은 대응 시간을 요구하는 위협이 바로 해수면에 낮게 비행하여 공격해 들어오는 대함유도탄일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투단내 여러 함정에게 대함유도탄 대응할 수 있도록 대함유도탄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수신 할 수 있는 통신 프레임을 제안하고, 한국해군함정의 협동교전능력 구축을 위한 통신프레임 구축에 필요한 사항을 예측하고자 한다.
more목차
국 문 요 약 Ⅰ
ABSTRACT Ⅱ
목 차 Ⅲ
표 목 차 Ⅴ
그 림 목 차 Ⅵ
1. 서론 1
2. 협동교전능력 3
2.1. 협동교전능력 개발배경 3
2.1.1. 미군의 대공작전을 위한 전투체계, 전술데이터링크 및 CEC 개발 5
2.1.1.1. 함정 전투체계 5
2.1.1.2. 미군의 전투체계 개발 6
2.1.1.3. 전술데이터링크의 등장 7
2.1.1.4. 미군의 CEC 구축 11
2.1.1.4.1. CEC 체계구성 및 운용 12
2.1.1.4.2. CEC 구축을 통한 전투력 증대 효과 15
2.1.1.4.2.1. 탐지공간 확장 및 탐지확률 증가 15
2.1.1.4.2.2. 위치 및 추적오차의 개선 17
2.1.1.4.2.3. 추적의 연속성 및 표적 식별 유지 18
2.1.1.4.2.4. 클러터 감소효과 19
2.1.1.4.2.5. 대전자전 대응능력 향상 20
2.1.1.4.2.6. 전투공간 확대 20
2.1.2. 한국군의 대공작전을 위한 전투체계, 전술데이터링크 발전 22
2.1.2.1. 한국 함정의 전투체계 발전사 22
2.1.2.2. 국산함정 전투체계 소개 24
2.1.2.2.1. 대형상륙함(LPH) 전투체계 24
2.1.2.2.2. 유도탄 고속함(PKG-A) 전투체계 24
2.1.2.2.3. 차기호위함(FFG-Ⅰ) 전투체계 25
2.1.2.3. 함정 전투체계 발전방향 26
2.1.2.4. 한국군의 전술데이터링크 27
2.1.2.4.1. 국내 전술데이터링크 운용현황 27
2.1.2.4.2. 전술데이터링크 개발현황 28
2.2. 협동교전능력 구축에 필요한 아키텍처 분석 29
2.2.1. CEC체계 구성장비 및 운영개념 컨텍스트 다이어그램 29
2.2.1.1. CEP 컨텍스트 다이어그램 30
2.2.1.2. DDS 컨텍스트 다이어그램 32
2.2.2. CEC 컨텍스트 다이어그램 요소별 분석 34
3. 협동교전능력 구축을 위한 통신 프레임 제시 35
3.1. 대함유도탄 협동대응을 위한 최소요구시간 산출 35
3.2. 대함유도탄 협동대응을 위한 통신 프레임 제시 39
4. 협동교전능력 구축을 위해 제시한 통신프레임의 실험 41
4.1. 실험환경 구성 41
4.2. 실험 결과 42
5. 결론 44
6. 참고문헌 45
감사의 글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