在朝日本人 교사 죠코 요네타로(上甲米太郞)의 생애와 활동
- 주제(키워드) 재조일본인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정태헌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2
- 학위구분 석사
- 학과 일반대학원 한국사학과
- 원문페이지 47 p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orea/000000057583
- 본문언어 한국어
- 제출원본 000045825141
초록/요약
국문초록 在朝日本人 교사 죠코 요네타로(上甲米太郞)의 생애와 활동 본 논문은 죠코 요네타로(上甲米太郎)의 생애와 활동을 분석하며 재조일본인의 식민지 체험과 조선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재조일본인들은 식민권력과 영합하여 식민지 조선인들을 억압해왔던 존재로 알려져 왔다. 그렇지만 죠코의 일생은 이와 다른 궤적을 보여준다. 죠코는 식민지 조선의 공립보통학교에서 근무한 재조일본인 교사였다. 하지만 1930년 재임 중 교육노동자조합사건으로 조선인 제자들과 함께 구속된 인물이기도 하였다. 우리가 죠코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민지기 조선의 교육 현장과 조선 사회의 실상 규명에 도움이 된다. 둘째, 재조일본인의 구체적 상을 찾아볼 수 있다. 셋째, 식민지기 재조일본인 사회를 다각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죠코에 관련한 자료는 현재 평전을 비롯해 일기, 교육노동자조합사건에 대한 일본경찰의 보고서, 1930년 12월 검거 후 경성지방법원의 예심종결 결정서, 경성지방법원의 판결문 및 관련자료, 그 외 서간류(書簡類), 사진, 잡지 등이 남아있어, 그의 행적을 추적하는데 도움을 준다. 죠코는 일본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뒤 18세가 되던 1920년 교사의 꿈을 안고 조선으로 이주했다. 이후 죠코는 교원양성소에서 교사교육을 받은 뒤, 1922년 함안공립보통학교(咸安公立普通學校), 1924년 야로공립보통학교(冶爐公立普通學校), 1927년 곤명공립보통학교(昆明公立普通學校) 교사로 부임했다. 죠코는 교사생활을 시작한 직후 재조일본인으로서 식민지 조선인과 관계를 맺는 것에 대해서 고민했던 것으로 보인다. 처음 교사를 시작 했을 당시에는 조선을 자신의 힘으로 바꾸겠다는 지배자적인 생각이 강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조선 농촌의 가난한 현실에 대한 원인을 탐구하기 시작했고, 이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생각하게 되었다. 죠코가 교사생활을 하며 남긴 일기에는 재조일본인에 대한 의문과 불만이 담겨있다. 죠코는 동료 일본 교사들의 조선인 학생들에 대한 오만함에 안타까움을 토로하며, 민족적인 차별에서 벗어나 교사로서 자신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고뇌했다. 그는 1928년부터는 사회과학 서적을 집중적으로 읽기 시작했다. 특히 가가와 도요히코(賀川豊彦)의 저서와『新興教育』등의 잡지를 통해 민족 간 연대의 필요성에 대해서 인식하게 되었다. 그리고 1930년 공립보통학교 교장 재임 중 프롤레타리아 교육의 보급을 위하여 노력하다가 교육노동자 사건으로 조선인 제자들과 함께 구속되었다. 식민지기 재조일본인은 식민지 지배층의 일원으로 일정한 특권과 자율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조선을 통치해야 했던 식민지 지배 권력의 입장에서 재조일본인은 조선통치의 안정을 위해서는 통제해야만 하는 '껄끄러운 존재'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죠코와 같이 일본인이었지만 조선에 거주하며 조선인과 함께 하고자 하였던 재조일본인들의 사례는, 종래의 지배·피지배, 억압·피억압이라는 이분법적 사고를 상대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more목차
머리말 1
제 1 장 아버지의 파산과 조선 이주 결정 7
제 1 절 청소년기의 방황과 기독교 세례 7
제 2 절 경제난 타개를 위한 조선의 교사 선택 9
제 2 장 기독교 소명 의식과 제국의 문명화 임무의 결합 13
제 1 절 조선·조선인에 대한 애정을 가진 교육 실천 13
제 2 절 무책임한 재조일본인들에 대한 비판 18
제 3 장 문명의 전파자에서 조선 독립의 조력자로 교사의 역할 전환 23
제 1 절 조선인의 가난에 대한 근본적 원인 탐구 23
제 2 절 민족적 우월감을 넘어 민족간 연대감 형성 27
제 3 절 교원노동조합운동의 전개 29
맺음말 34
참고문헌 37
Abstract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