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 사상의 승반론적 이해
A Understanding of Yulgok's Thought based on Theory of Supervenience
- 주제(키워드) Yulgok , LiQi(理氣) , Supervenience , Mind-Nature[心性] , Self-cultivation , political thought[經世論]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이승환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2
- 학위구분 박사
- 학과 일반대학원 철학과
- 세부전공 동양철학 전공
- 원문페이지 200 p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orea/000000057479
- 본문언어 한국어
- 제출원본 000045825032
초록/요약
The aim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Yulgok's Thought based on Theory of Supervenience. Up to now Yulgok's thought has been studied LiQi(理氣), Mind-Nature[心性], Self-cultivation and his political thought as a apart. This dissertation, however, tries to argue Mind-Nature[心性], Self-cultivation and his political thought[經世論] based on LiQi(理氣), with particular on Theory of Supervenience. Yulgok argued LiQi(理氣) based on Ontological theory. This point can be explain on Theory of Supervenience. Theory of Supervenience implies LiSheng(理乘) and Covariance[共變]. LiSheng(理乘) means that Li(理) is the standard of Qi(氣) motion. Covariance[共變] means that Li(理) is influenced by Qi(氣) as Li(理) riding on Qi(氣). Additionally, I argue Mind-Nature[心性], Self-cultivation and his political thought[經世論] based on Theory of Supervenience. By analyzation these, I demonstrate that Yulgok's Mind-Nature[心性], Self-cultivation and his political thought[經世論] is distinguishes from Joseon(朝鮮)' Neo-Confucianism. Through this, it could be confirmed that meaning of "Mind is Qi[心是氣]" 'XinTongXingQing[心統性情]' , emphasis of the changing QiZhil(氣質) in Self-cultivation and reason of the practicality[務實]-oriented his political thought[經世論].
more목차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1
2. 연구사 정리 4
3. 연구 방법과 구성 10
Ⅱ. 개념적 多義性 분석으로 본 주자의 리기론 13
1. 多義性 분석 13
(1) 리와 기의 多義性 13
(2) 새로운 분석틀의 필요성 20
2. 주자의 리기론 25
(1) 존재론적 해석 틀, 승반론 25
(2) 도덕 심리학적 해석 틀, 성향 이원론 37
Ⅲ. 율곡의 리기관 49
1. 리 기 성향 이원론에 대한 비판 49
(1) 元代 정복심 호병문에 대한 율곡의 비판 49
(2) 四端 七情 감정 이원론에 대한 비판 52
(3) 人心 道心 이원론에 대한 비판 58
2. 리 기에 대한 승반론적 접근 63
(1) 승반론 도입의 필요성 63
(2) 四端 七情에 대한 승반론적 해석 71
(3) 人心 道心에 대한 승반론적 해석 76
(4) 지각에 대한 승반론적 접근 84
Ⅳ. 리기론에 입각한 수양론 91
1. 승반론에 근거한 心性論 91
(1) 心是氣를 통해 본 심의 이중성 92
(2) 心統性情을 통한 수양론 구축 102
2. 승반론에 근거한 수양론 110
(1) 未發 涵養 공부를 통한 주체의 각성 110
(2) 格物致知를 통한 氣質變化 122
(3) 誠意를 통한 도덕적 행위 담보 131
Ⅴ. 리기론에 근거한 경세론 141
1. 리기론에 근거한 시대 인식 141
2. 개혁을 위한 기준으로서 리 151
3. 개혁의 착수처로서 기 161
4. 율곡 경장론의 승반론적 해석 172
Ⅵ. 결론 185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