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경을 통한 회전근개 파열 봉합술을 시행받은 환자에 있어 건측 견관절의 상태에 대한 연구
Status of contralateral rotator cuff in patients who underwent rotator cuff repair
- 주제(키워드) rotator cuff tear , opposite shoulder , prevalence , ultrasonography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정웅교
- 발행년도 2014
- 학위수여년월 2014. 2
- 학위구분 석사
- 학과 일반대학원 의학과
- 세부전공 정형외과학 전공
- 원문페이지 25 p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orea/000000049338
- 본문언어 영어
- 제출원본 000045795085
초록/요약
Background: Although several reports have described the prevalence of rotator cuff tear (RCT) in the general population,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on the status of the opposite side rotator cuff in patients who underwent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ralateral shoulder an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RCT of the contralateral shoulder in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symptomatic RCT. We hypothesized that the prevalence of contralateral rotator cuff tear may be higher in patients with more severe symptomatic rotator cuff tears who require surgical interven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cohort consisted of 140 patients diagnosed with RCT who underwent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Opposite shoulder rotator cuff tendons of all patients were evaluated using ultrasonography. Demographic information and factors related to contralateral RCT were investigated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ontralateral RCT were assessed. Results: Of the 140 patients who underwent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54 (38.6%) had RCTs of the contralateral shoulder. Of 51 patients with partial-thickness and small-sized full thickness tears of the operated shoulder, 35 (68.6%) had no tears, 14 (27.5%) had partial-thickness tears, and 2 (3.9%) had small-sized full thickness tears of the contralateral shoulder. Of 75 patients with medium-sized full thickness tears, 43 (57.3%) had no tear, 12 (16%) had partial-thickness tears, and 20 (26.7%) had full-thickness tears of the contralateral shoulder. Of 14 patients with large to massive full thickness tears, 8 (57.1%) had no tears, 1 (7.1%) had a partial-thickness tear, and 5 (35.7%) had full-thickness tears of the contralateral shoulder.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RCT of the contralateral asymptomatic shoulder is higher in patients with symptomatic rotator cuff tear on one side regardless of symptom severity, and tends to be higher in patients with RCTs >2 cm (medium-sized) of the operated shoulder. Patients with more than medium-sized tears of the operated shoulder should be assessed for RCTs of the contralateral shoulder.
more초록/요약
목적: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회전근개 파열의 유병율에 대해서 여러 연구 결과 들이 있었지만, 관절경을 통한 회전근개 봉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의 건측 견관절의 상태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통증이 있는 회전근개 파열 환자 중 관절경적 회전근개 파열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건측 견관절 상태를 회전근개 파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와 관련하여 연구하였다. 우리는 통증이 더욱 심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회전근개 파열 환자의 건측 견관절 회전근개 파열 유병율이 일반인이나 다른 연구의 통증이 있는 회전근개 파열 집단 군 보다 높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회전근개 파열을 진단 받고, 관절경적 회전근개 봉합술을 받기로 한 총 1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코호트 연구를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의 건측의 견관절을 초음파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인구학적 특성과 건측 견관절의 회전근개 파열과 관련한 인자들을 수집하고, 회전근개 파열과 관련된 위험인자들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결과: 총 140명의 관절경을 통한 회전근개 파열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 중 54(36.8%)명이 건측에 회전근개 파열이 있었다. 수술 소견 상, 부분 파열과 작은 크기의 파열 소견을 보인 51명의 환자는, 건측의 견관절 상태에 있어 35(68.6%)명의 정상 소견, 14(27.5%)의 부분 파열, 그리고 2(3.9%)의 작은 크기 파열을 보였다. 수술 소견 상, 중간 크기의 파열 소견을 보인 75명의 환자는, 건측의 견관절 상태에 있어 43(57.3%)명의 정상 소견, 12(16%)명의 부분 파열, 그리고 20(26.7%)명의 전층 파열을 보였다. 수술 소견 상, 거대 크기의 파열 소견을 보인 14명의 환자는, 건측의 견관절 상태에 있어 8(57.1%)명의 정상 소견, 1(7.1%)명의 부분 파열, 그리고 5(35.7%)명의 전층 파열을 보였다. 결론: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의 통증이 없는 건측 견관절의 회전근개 파열 유병율은 환측의 통증 정도와는 관계없이 높았고, 이 유병율은 수술 소견상 중간 크기 보다 더 큰(>2cm)파열을 보인 환자에서 더 작은 크기의 파열을 보인 환자 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관절경적 수술 시행 시에, 중간 크기 보다 더 큰 파열을 보인 환자는 건측의 견관절 상태 평가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