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梁啓超의 저작물에 나타난 일본어 차용어 연구 : 『强學報』・『時務報』및 『淸議報』를 中心으로

초록/요약

본 논문은 양계초(梁啓超)의 『强學報(강학보)』(1896), 『時務報(시무보)』(1896) 및 『清議報(청의보)』(1898)에 나타난 일본어 어휘를 통하여 양계초의 일본망명 전후 일본어가 중국어에 유입된 실태를 밝히려는 것이다. 결과 『强學報』,『時務報』에 출현하는 일본어 차용어는 총 690개이며, 『淸議報』에 대하여 총 1,318개의 일본어 차용어 용례가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통으로 출현한 어휘는 605개이며, 『淸議報』즉 양계초가 일본 망명 후 출현한 어휘는 총 713개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이 신문에 나타나는 어휘, 용례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양계초가 일본 망명 전후 어떻게 일본어 어휘를 중국어로 받아들였는지, 받아들인 일본어 어휘들의 개관, 그리고 일본어 어휘가 현대 중국어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등을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일부 어휘들은 사어(廢語)가 되어 현대 중국어에서 사용하지 않는다. 현대 중국어와 표기방법이 다른 단어가 있고 현대 중국어와의 의미가 다른 단어들도 있다. 나아가서는 양계초가 현대중국어에 대한 공헌 및 양계초 자료가 일본어 차용어의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라는 것을 규명하고자 한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 취지 및 목표 1
2. 선행 연구 5
3. 연구 자료 및 연구 방법 9
4. 본 논문의 구성 11
Ⅱ. 본론 13
1. 일본어 차용어 13
1.1 일본어 차용어의 정의 13
1.2 중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일본어 차용어 18
1.2.1 청일전쟁 이전 19
1.2.2 청일전쟁 이후 22
2. 양계초(梁啓超)의 저작물 및 일본어 차용어와의 관계 24
2.1强學報 24
2.2時務報 27
2.3淸議報 33
2.4 양계초의 저작물과 일본어 차용어 36
3. 양계초 저작물에 나타난 일본어 차용어 39
3.1 양계초 저작물에 나타난 차용어의 개관 40
3.1.1 전파 경로 별 고찰 40
3.1.2 양계초 저작물에서 출현한 일본어 차용어 46
3.2 양계초 저작물에 나타난 일본어 차용어의 차이 51
3.3 일본어 차용어의 수용방법 55
3.3.1 조어법 56
3.3.2 기성단어로 재구성하는 방법 60
3.3.3 번역의 방법 61
3.3.4 일본제 한자의 사용 65
3.4 일본어 차용어와 현대 중국어의 관련성 66
3.4.1 사어(死語) 67
3.4.2 표기의 변화 69
3.4.3 의미의 변화 73
3.5 연구결과에 미친 논의 76
Ⅲ. 결론 80
<참고문헌> 84
<부록> 9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