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고등학교 고전한문편 연구 : 대학입학시험문제 분석을 겸하여
- 주제(키워드) 일본 한문교과서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김언종
- 발행년도 2013
- 학위수여년월 2013. 2
- 학위구분 석사
- 학과 교육대학원 한문교육전공
- 원문페이지 58 p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orea/000000039118
- 본문언어 한국어
- 제출원본 000045826348
초록/요약
이 논문은 일본의 고등학교 국어과 고전 한문편 교과서를 중심으로 학습지도요령과 일본 대학입시 센터시험의 한문시험을 통해 일본 한문교육의 교육방향과 그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한일 양국의 한문교육을 이해하는 데에 목표를 둔다. 한국과 일본은 동북아시아에서 한자문화권을 공유하며 긴밀한 관계를 가져왔다. 교육, 문화, 경제, 과학기술, 정치 등 다방면에 걸쳐 교류해왔으며 보다 나은 관계형성을 위해 지속으로 노력하고 있다. 일본은 한국의 교육과정인 학습지도요령을 기반으로 한문을 국어과에 포함시켜 소학교·중학교·고등학교에 걸쳐 체계적으로 교육시키고 있다. 학습지도요령과 더불어 상용한자를 기반으로 하여 학교교육과정에서 한문의 읽기와 쓰기의 동시학습을 목표로 한다. 2010년 개정된 상용한자는 기존보다 191字가 늘어나서 총 2136字가 되었으며 2013년부터 전면 실시되는 개정학습지도요령에도 반영되었다. 일본은 학생들이 학교교육 한문수업을 통하여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日漢 혼용문장을 쓰도록 유도하고 있으며 전통의 계승과 한문 문화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일 양국은 다방면에 걸쳐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으며 특히 교육 분야에 있어서는 상호작용하는 점이 많다. 양국 모두 교과서 중심의 학교교육을 시행하는 공통점이 있으며 각각 한국은 국가교육과정과 일본은 학습지도요령의 동향에 따라 한문교육이 변화하고 있다. 개정된 학습지도요령에 의해 일본 한문교육의 위상은 나날이 높아지고 있고 한문이 대학입학시험에서까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을 통해 한국의 한문교육이 변화해 나갈 방향을 가늠해볼 수 있었다. 일본은 학생들의 언어능력향상을 위해 개정학습지도요령에서 국어과의 시수를 늘임과 동시에 상용한자를 시대의 흐름에 따라 삭제하고 추가시켜 변화해 나가고 있다. 이처럼 한국의 한문교육도 긍정적 발전을 위해 시대 변화에 부단히 적응해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more목차
Ⅰ. 序 論
1. 연구 목적 1
2. 연구 현황 2
3. 연구 자료 및 방법 7
Ⅱ. 일본의 교육과정-학습지도요령
1. 학습지도요령의 소개 9
2. 개정 학습지도요령의 한문과 분석 14
Ⅲ. 고전 한문편 교과서의 단원 구성
1. 목차와 구성의 특징 17
2. 각 단원의 실제구성 27
Ⅳ. 일본 대학입시센터시험의 한문시험
1. 일본 대학입시센터시험의 개괄 34
2. 한문시험의 구성과 특징 36
Ⅴ. 한국과 일본의 한문교육 45
Ⅵ. 결론 49
❚참고문헌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