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리얼리티 프로그램 수용자에 대한 연구 : SBS <짝>의 여성 수용자 해독을 중심으로

A Study on Audience of Reality Program : Focusing on the Female Audience of <Couples> on SBS

초록/요약

본 연구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내포하는 텍스트의 다의성(polysemy)으로부터 수용자가 생산할 수 있는 반헤게모니적 담론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그동안 사회 지배적 이데올로기에 힘을 실어준다고 논의되었던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한계에 의문을 가지고 현실 질서에 전복적인 의미 생산의 가능성을 점검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가 주목한 리얼리티 프로그램 <짝>은 남녀가 결혼 배우자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전통적․사회 지배적 가치들을 노골적으로 재현한다. 한편, 매 에피소드마다 새로운 소재와 주제에 대한 도전과 시도를 통해 한국 사회의 전통적 결혼관으로 드리워지는 헤게모니에 저항적인 힘을 실어주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처럼 프로그램에 드러나는 상반된 담론은 수용자가 비단 지배 질서와 규범들을 재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반헤게모니적 담론의 장을 마련하는 데에도 일조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짝>에 나타나는 상반된 담론을 수용자들이 어떻게 해독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짝>을 즐겨보는 20대 후반~30대 초반의 결혼적령기 미혼 여성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특히 기존 질서에 대한 저항이라는 특정 에피소드의 선호된 의미(preferred meaning)로부터 어떠한 해독을 이루는지, 그리고 그 해독이 갖는 함의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했다. 수용자 분석 결과 여성들은 사회 지배적 질서에 저항적인 텍스트에 적극적으로 동의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오히려 텍스트의 현실감 여부에 민감했으며, 이는 <짝>이 리얼리티 프로그램 장르라는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또한 여성 수용자들은 사회적으로 ‘여성’이라는 자신의 위치를 비롯해 ‘결혼 적령기’라는 연령층 등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다양한 상황을 기반으로 하여 비단 결혼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전복을 기꺼이 수긍하기보다 오히려 불편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 여성이라는 사회적 맥락에서 수용자들은 지배적 담론과 비판적 담론이 공존하는 <짝>의 이데올로기적 이중성에 대해 비판적 담론에 기대어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가기보다 기존 질서에 순응함으로써 의미들을 형성해 나가고 있었다. 따라서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수용자의 해독은 수용자의 사회적 위치와 경험적 차이라는 복잡한 맥락 속에서 이루어지며, 때문에 전복적 텍스트에 대해서도 수용자의 해독이 선별적일 수 있다고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수용자 해독을 통해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비판․성찰적 텍스트로서의 가능성을 들여다보고자했다는 점에서 그동안의 연구들이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기존 헤게모니를 강화시키는 텍스트로서 바라보며 그 한계에 집중하는 것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는 시도라고 생각된다. 더불어 텔레비전의 주류 장르로 자리한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사회문화적 함의를 보다 깊이 제시할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진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tried to explore counter-hegemony in audiences' discourse produced from polysemy of reality program text. Then, it focused on SBS <Couples> series and the interpretations of its women audiences to discuss the social implications of reality programs. First of all, the study indicates that reality program about marriage offers an ideological discourse about marriage and gender role which support superior husbands and submissive wife in patriarchy. Despite the ideological limitation,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 marriage reality program offers a critical discourse about gender role by producing subversive text.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with 30 unmarried women respondents, this thesis analyzed the audiences reproduce dominant social discourses despite co-existence the conflicting ideological discourses of the media text. Audiences' interpretations were influenced by whether the text is reality or not because of the genre of the reality program. Audiences were also based on various environments that their social position as Korean women and marriageable age, and so on.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interpretations of reality program audiences appear in complex context by social and empirical differences, so it could be failed to attempt to critique hegemonic power even though the text is resistant to the dominant ideologies. Keywords: reality program, audience, marriage discourse, gender role, counter-hegemony, cultural studies

more

목차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제 2 절 리얼리티 프로그램 <짝> 소개 5

제 2 장 이론적 배경 9
제 1 절 리얼리티 프로그램과 수용자 9
제 2 절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반헤게모니적 의미 생산
: 장르적 관습과 담론 구성 12
제 3 절 사랑과 결혼에 대한 담론
: 여성의 짝 선택에 대하여 15

제 3 장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19
제 1 절 연구 문제 19
제 2 절 연구 방법 20

제 4 장 현실적 공감과 즐거움 25
제 1 절 리얼리티에 대한 인식과 해독 25
제 2 절 즐거움 : 공감과 거부의 이중성 33

제 5 장 전통적 결혼 담론의 재생산 38
제 1 절 젠더 의식의 고착화
: 신데렐라를 꿈꾸는 여자 vs. 신데렐라를 꿈꿀 수 없는 남자 38
제 2 절 일탈의 두려움 : 다시 미디어로부터 45

제 6 장 결론 및 논의 51
제 1 절 연구의 결론 및 함의 51
제 2 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55

■ 참고문헌 56

■ Abstract 6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