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쓰기에 대한 대학생과 교수의 인식 연구
- 주제(키워드) 리포트 , 리포트 쓰기 , 학술적 글쓰기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이순영
- 발행년도 2013
- 학위수여년월 2013. 2
- 학위구분 석사
- 학과 일반대학원 국어교육학과
- 세부전공 국어교육
- 원문페이지 112 p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orea/000000038649
- 본문언어 한국어
- 제출원본 000045743734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학술적 글쓰기(academic writing)의 한 예인 대학생의 ‘리포트 쓰기’에 대한 학생과 교수의 인식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포트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학년별, 계열별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한다. 둘째, 대학 교수의 리포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대학생과 교수의 리포트에 대한 인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인식 조사에 들어가기 전에 국내 대학의 글쓰기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대학 글쓰기 교육을 기초 교양 글쓰기 교육과 전공별 글쓰기 교육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학술적 글쓰기와 대학 리포트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문제 해결을 위하여 설문조사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총 535명의 대학생(1학년 279명, 4학년 256명), 대학 교수와 강사 43명(교수 40명, 강사3명)을 조사 대상으로 삼고, 지역 분포를 고려하여 서울, 충청, 전라, 경상 지역의 6개 대학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학생들에게는 강의시간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코딩하고, 빈도분석을 통해 연구문제 1, 2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리포트 쓰기에 대한 계열별, 학년별 인식에 대해서는 눈에 띄는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몇 가지 문항에서 드러난 계열별 차이만으로도 계열별 리포트 쓰기 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충분히 크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교수가 생각하는 리포트의 목적과 학생이 생각하는 리포트의 목적이 서로 다르다는 것이다. 교수가 학생에게 리포트 과제를 내는 이유는 그저 공부의 충실성을 평가하기 위함이 아닌, 수업 시간에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스스로’, ‘새로운 문제를 탐구’하게 하는 것이다. 이는 고등학교 공부와는 다른 대학공부의 특성이며, 대학생의 리포트는 이러한 성격을 반영해야 한다. 셋째, 대학 신입생들은 전반적으로 자신의 글쓰기 능력이 낮다고 생각하며, 리포트 쓰기 능력은 더욱 낮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4학년의 경우 1학년에 비해 자신의 글쓰기 능력과 리포트 쓰기 능력을 ‘높은’ 쪽으로 응답한 학생들이 많았다. 대학 1학년 학생이 자신의 글쓰기 능력을 낮다고 생각하는 것은, 중‧고등학교 때의 글쓰기와 대학에서의 글쓰기가 매끄럽게 연결되지 않을 뿐 아니라 중‧고등학교에서는 대학 리포트 쓰기에 도움이 되는 글쓰기 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는 중‧고등학교의 교육과 대학 교육의 근본적인 차이에서 비롯한다. 넷째, 이러한 차이를 메워 줄 해결 방안은 바로 대학의 글쓰기 ‘교육’이다. 그러나 대학 글쓰기 교육에는 많은 문제점들이 있는데, 활발한 전문 교수 요원 양성, 대학 글쓰기 교육에 대한 깊고 풍부한 연구, 충분한 행정적 지원을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하나씩 해결해 나가야 한다. 또한 계열별 글쓰기 교육 역시 각 계열에 맞는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충분한 연구와 개발을 토대로 지금보다 더욱 많은 대학으로 확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more목차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5
II. 대학 글쓰기 교육과 리포트 쓰기 7
1. 대학의 글쓰기 교육 7
2. 학술적 글쓰기와 리포트 쓰기 20
III. 연구 방법 25
1. 연구 대상 25
2. 연구 절차 27
IV. 결과 분석 29
1. 대학생의 리포트에 대한 인식 29
2. 대학 교수의 리포트에 대한 인식 61
V. 결론 및 의의 75
1. 결론 및 논의 75
2. 연구의 제한점 및 의의 81
참고문헌 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