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치동과 중계동 학원가의 공간구조 및 이용행태 비교연구
- 주제(키워드) 학군 , 학원 , 대치동 학원가 , 중계동 학원가 , 학원경관 , 공간구조 , 이용행태 , 시간지리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홍금수
- 발행년도 2013
- 학위수여년월 2013. 2
- 학위구분 석사
- 학과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 원문페이지 114 p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orea/000000038392
- 본문언어 한국어
- 제출원본 000045743973
초록/요약
우리나라는 지형적으로 국토 공간이 협소하고, 자원이 한정되어 있어 예로부터 교육을 통해 ‘인적 자원’을 활용하는 것이 국가의 가장 중요한 사업으로 여겨왔으며, 개인의 사회적 지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교육이 절대적이었다. 현대사회에 이르러서도 교육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은 여전히 높은 가운데, 사람들은 명문학교(학군)가 있는 곳, 좋은 학원이 형성된 곳으로 집중되게 되었다. 특히 좋은 학원이 많이 몰려있는 지역에 학부모들의 관심은 쏠리게 되었고, 그에 따라 우수한 학원이 몰려 있는 곳은 타 지역과는 다른 경관을 연출하게 되었다. 이른바 학원으로 특성화된 지역인 ‘입시 학원가’가 발달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서울에서도 학원교육의 중심지이자 사교육 지역으로 자리를 잡은 곳이 있는데, 강남구의 ‘대치동’ 학원가와 노원구의 ‘중계동’ 학원가, 양천구의 ‘목동’ 학원가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이중 본고에서는 강·남북을 대표하는 ‘대치동 학원가’와 ‘중계동 학원가’를 비교 분석하여 공간구조와 경관을 고찰하고, 두 지역을 이용하고 있는 학생들의 행태를 살펴봄으로써 교육공간을 중심으로 하는 두 지역의 시·공간 변화과정과 지리적 패턴을 파악하고자 했다. 두 지역의 경관을 살펴보고 비교하는데 있어 각각의 학원가가 입지한 강남구 대치1동 및 대치4동과, 노원구 중계본동을 중심으로 현지답사를 통해 학원들의 위치를 파악하고, 두 지역을 대표하는 학원들의 조직과 운영에 대해 조사하였다. 학원가에 대한 일차적인 문헌연구와 답사를 바탕으로 교육서비스 구매자의 행태와 지리적 패턴을 규명하기 위해 실제 학원 이용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문헌연구와 설문조사 이외에 학원가의 답사를 병행하면서 사진자료를 수집하였고, 학원을 이용하고 있는 학원생들과 학원가에 종사하고 있는 학원 강사를 포함하여 학원관련 부동산업종에 일을 하고 있는 중개업자에게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또한 설문으로 확인이 힘든 부분을 보충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파악된 특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시 전문학원가로 특성화된 ‘대치동 학원가’와 ‘중계동 학원가’는 서로 다른 형성배경을 갖고 있다. 대치동 학원가는 정부의 ‘명문고 이전 정책’으로 인해 도심의 우수 학군이 강남구 일대로 대거 이전하게 되면서 학원이 함께 집중되어 형성된 반면, 중계동 학원가는 중계동 일대에 중산층을 위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개발되면서 중산층의 인구가 집중되자 그들의 교육열을 충족하기 위해 대규모 학원타운이 조성되었다. 둘째, 대치동 학원가와 중계동 학원가는 ‘종합학원’과 ‘과목별 전문학원’이 골고루 잘 발달해 있으며, 특히 대치동 학원은 고등학생과 재수생을 위한 대학입시학원이 많고, 중계동은 중학생의 특목고진학을 위한 중학생전용 입시학원이 많았다. 셋째, 대치동 학원가는 규모와 면적이 넓고, 학원들이 여러 건물에 다양하게 입지하고 있어 한마디로 규정하기 어려운 반면, 중계동 학원가는 면적이 좁은 곳에 수많은 학원들이 몇몇 건물들에 밀집되어 있는 형태를 갖고 있다. 이에 중계동 학원가의 건물은 그 형태와 기능에 따라 단독형과 복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넷째, 대치동 학원가와 중계동 학원가는 문화경관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 대치동 학원가는 교통이 잘 발달되어 있어 학원생들 이외에도 외부유입 인구가 많아 다양한 소비자를 위한 소비경관을 볼 수 있다. 반면, 중계동은 교통이 불편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인구가 적고, 주변이 아파트단지로 둘러싸여 있어 지역주민의 수요를 위한 소비경관과 학원생들을 위한 교육경관만이 나타난다. 다섯째, 대치동 학원가를 이용하고 있는 학원생의 주거지 분포는 가깝게는 강남구 일대를 비롯하여 멀게는 부산 및 경상도까지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치동 학원가 이용자의 주거지 분포는 전국단위로 볼 수 있다. 반면, 중계동 학원가의 이용자는 대부분이 노원구 일대나 학원가 인접지역으로, 대개 차로 1시간 이내의 거리 정도가 이들의 주거지 분포라고 볼 수 있다. 여섯째, 학교와 학원 간의 비교 시 두 지역 모두 학교보다는 학원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교육시설 및 교육프로그램, 수업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학원이 ‘좋거나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반면, 학교는 ‘보통이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또한 선생님에 대한 신뢰도 역시 학원 선생님이 학교 선생님보다 더 높게 나타나 사교육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일곱째, 학원의 필요성과 향후 학원의 전망 그리고 정부의 사교육정책에 대해서는 두 지역 모두 학원이 꼭 필요하거나,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학원의 전망에 대해서는 지금과 비슷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정부의 사교육정책에 대해서는 표면적으로 잘 시행되고 있는 것 같다고 응답해 호의적인 것 같았지만, 학생들과의 심층면담 결과 사교육시장은 줄어들지 않았고, 오히려 과외와 같은 눈에 보이지 않는 사교육시장이 더욱 발달했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많아 정부의 정책이 효과적으로 시행되고 있지 않음을 시사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사교육시장을 줄여나가고, 추후 공교육 활성화방안 및 사교육의 양성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적 방향제시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more목차
Ⅰ. 서 론 1
1. 연구 목적 1
2. 연구 방법 4
Ⅱ. 강남과 강북 대표 학원가의 형성 7
1. 학군의 사회지리 7
2. 대치동 학원가의 형성과정 15
3. 중계동 학원가의 형성과정 20
Ⅲ. 대치동과 중계동 학원가의 공간구조와 경관 23
1. 대치동 학원가의 공간구조와 경관 23
2. 중계동 학원가의 공간구조와 경관 35
Ⅳ. 대치동과 중계동 학원의 조직과 운영 48
1. 대치동 학원의 조직과 운영 48
2. 중계동 학원의 조직과 운영 54
Ⅴ. 교육서비스 구매자의 행태와 커뮤니티 60
1. 교육서비스 구매자의 행태 및 시간지리 60
2. 교육서비스 구매자의 공간적 분포 71
3. 학교-학원 이중적 커뮤니티의 형성 74
Ⅵ. 결론 및 제언 93
참 고 문 헌 96